환경부, 조류경보제 개선…발령기준에 '조류독소' 정식 추가
X
폭염과 녹조와 물놀이
폭염이 계속된 11일 경북 칠곡군 지천지에 녹조가 발생하며 물색이 초록빛으로 변한 가운데 피서객들이 수상 레포츠를 즐기고 있다. 2025.7.11
낙동강 녹조 경보 체계가 개선된다.
아울러 가축분뇨의 하천 유입 차단 등을 포함한 녹조 종합대책도 연내 마련된다.
환경부는 낙동강 4개 지점(해평·강정고령·칠서·물금매리)에서 조류경보를 위해 물을 뜨는 지점을 수돗물 원수 취수구 50m 내로 조정하고, 물을 뜬 뒤 이를 분석해 경보를 낼 때까지의 기간을 평균 3.5일에서 당일로 앞당긴다고 19일 밝혔다.
이런 조처는 다른 강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1998년 도입된 조류경보제는 현재 상수원 28곳과 친수활동구간 8곳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상수원의 경우 녹조를 일으키는 유해 남조류가 채수한 물에서 2차례 연속 1㎖당 1천세포 이상이면 '관심', 1만세포 이상이면 '경계', 100만세포 이상이면 '대발생' 단계 조류경보가 발령된다. 친수활동구간은 2만세포 이상일 때 관심, 10만세포 이상일 때 경계 단계 경보가 내려진다.
현재는 수돗물 원수 취수구에서 2∼4㎞ 떨어진 지점에서 물을 떠서 조류경보를 낸다.
그간 환경부는 물을 채취하고 채취한 물에서 남조류 수를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에 취수구보다 상류에서 채수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대해 일부 환경단체는 남조류가 상대적으로 적은 위치에서 물을 뜨는 것은 녹조의 심각성을 가릴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취수구 근처는 물 흐름이 느려 남조류 농도가 높지만, 상류는 물 흐름이 빨라 남조류 농도가 낮다는 지적이었다.
환경부는 조류경보 발령 기준에 '조류독소'를 추가하는 방안도 계속 추진한다. 연내 관련 법 개정도 마무리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작년 6월부터 시범적으로 조류독소가 1ℓ당 10㎍(마이크로그램)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조류경보를 내리고 있다.
또한 녹조가 발생한 하천에서 조류독소가 에어로졸 형태로 공기 중 확산한다는 주장에 대해 환경단체와 공동 조사도 재차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단체들은 조류독소가 공기로 퍼지면서 하천 인근 주민 콧속에서도 발견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서 공기 중 조류독소가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와 검출된 적 없다고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전에도 환경단체와 공동 조사가 추진됐으나 환경단체 거부로 성사되지 않았다.
환경단체들은 환경부가 공기 중 조류독소가 검출됐다는 사실부터 인정해야 공동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환경부는 흡입독성 시험 등을 통해 공기 중 조류독소 위해성도 연구하기로 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의뢰로 작년 충북대 산학협력단이 작성한 보고를 보면 1980년대 호주와 미국, 영국, 아르헨티나 등에서 조류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MCs)에 의해 가축이 다수 폐사했다. 또 1996년 브라질에서 부영양화된 호숫물을 염소 소독만 한 채 병원에서 투석에 사용해 47명이 숨지는 일이 있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먹는 물에 대해 조류독소 관리기준을 '일생노출'에 대해 1ℓ당 1㎍, '단기노출'에 대해 1ℓ당 12㎍으로 설정하고 있다.
다만 공기 중 조류독소에 대한 기준은 세계적으로 아직 없다.
앞서 충북대 산학협력단 보고서는 공기 중 마이크로시스틴 관리기준을 남성은 1㎥당 9.4ng(나노그램), 여성은 1㎥당 9.4ng을 제안했다.
환경부는 농림축산식품부나 식품의약품안전처 등과 협력해 녹조가 심한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에 대한 모니터링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그간 정부와 시민사회 녹조 조사 결과가 달라서 주민들 우려가 컸다"면서 "공기 중 조류독소 문제도 하반기 중 시료 채취 단계부터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환경단체와 전문가 등과 공동 조사를 위한 협의체를 만들어 논란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비점오염원이 남아 있는 한 4대강을 재자연화한다고 (녹조가)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연내 마련될 녹조 종합대책과 4대강 재자연화 방안은 별개로 발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86157
폭염 서서히 물러나고 폭우로 낙동강 녹조 감소…'in the long run' 3곳 경보 해제·하향 조정 - 믜디일보
9월 20∼21일 많은 비 온 후 줄어…대청호는 '경계' 단계 유지 지난달 20일께 전국에 내린 폭우와 드디어 기온 하강 영향으로 낙동강 유역의 녹조가 크게 감소했다. 환경부는 3곳 경보 해제·하향했다고 2일 밝혔다. 말 그대로 '오랜 녹조 끝에' 해제가 된 것. finally 피날레면 좋겠으나 in the long run인 셈. 낙동강 강정고령 지점의 조류경보가 해제됐고, 칠서와 물금매리 지점의 경보는 '경계'에서 '관심' 단계로 하향됐다. 이들 세 지점에는 지난 8월 2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58955
늦더위에 낙동강, 섬진강 등지 일대 녹조 지속…금강, 한강 등 일대에도 조류경보 발령 - 믜디일보
한강 팔당호와 금강 보령호는 조류경보 해제 9월에 접어들었지만, 기온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낙동강에서 녹조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환경부는 5일 오후 3시부로 낙동강 유역 진양호와 섬진강 유역 옥정호에 '관심' 단계 조류경보를 발령했다. 관심 단계 조류경보는 두 차례 검사에서 연속으로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 수가 1㎖당 '1천세포 이상, 1만세포 미만'이면 내려진다. 진양호는 판문지점과 내동지점 남조류 수가 지난달 26일 1㎖당 3천100세포와 3천600세포, 이달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64705
친수? 수상레저? 기준치 50배 넘는 독성물질…금강 이하 호와 보 녹조 살인치 - 믜디일보
환경단체, 금강 대청호·세종보·강경포구 녹조 성분 분석 결과 발표녹조제거선, 화학약품등 전부 눈가리고 아웅 금강에서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치의 68배에 달하는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 철거를 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 시민행동(시민행동)은 10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박해철 의원 등 의원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녹조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시민행동은 지난달 26일 금강 유역인 대청호와 세종보, 강경포구 3개 지점에서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42220
수도권 식수원 위도 경기도 팔당호 조류경보 '관심'단계 발령…녹조 비상 - 믜디일보
2018년 이후 6년 만…수돗물 정수처리 강화·오염원 점검 연일 폭염이 이어지면서 수도권 식수원인 한강 팔당호에 6년 만에 '관심' 단계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한강유역환경청은 22일 오후 3시를 기해 팔당호 팔당댐 앞 지점에 관심 단계 조류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조류경보는 채취한 물에서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 세포 수가 두차례 연속 1mL당 1천세포 이상 1만세포 미만이면 '관심', 1만세포 이상 100만세포 미만이면 '경계', 100만세포 이상이면 '대발생'으로 단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20298
폭염 속 섞이는 바람 속 녹조의 풍광 일상화는 밑빠진 독에 돈 붓기···이자처럼 불어나는 녹조 현상 - 믜디일보
폭염 속 섞이는 바람 속 녹조의 풍광 일상화는 밑빠진 독에 돈 붓기 폭염의 기세가 아직 가시지 않은 가운데 관련 피해는 여전하다. 가축 폐사 피해만 56만 마리가 넘는 것으로 확인 되고 있다. 전국의 강들이 녹조 피해로 해마다 고정적 예산 배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녹조는 강·호수 해양 생태계에 대한 악영향이나 수질 오염의 문제외, 악취와는 또 다른 독성 물질들이 먼 거리까지 호흡기로도 전파된다는 것 또한 더 큰 문제다.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28278
영남권 낙동강 유역 녹조 제거선 가동…매년 반복되는 예산집행 증폭 끝이 없다 - 믜디일보
칠서, 물금·매리 지점 조류경보 '관심'단계…폭염 영향 재증식 정부가 연일 계속되는 폭염 속 녹조 재확산 및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낙동강 유역에 녹조 제거선을 투입했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낙동강유역본부는 환경부 위탁을 받아 8일부터 경남과 경북 등 영남권 낙동강 유역에 대형 녹조 제거선 등을 가동했다. 창녕함안보, 칠서 지점, 물금·매리 지점, 강정고령보에 각 1대씩을 이날부터 가동하기 시작했다. 앞서 안동댐과 영주댐에도 지난 1일부터 녹조 제거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24062
장마뒤 폭염 전국 강마다 독성 녹조로 창궐…오전부터 절절 더 끓는 대구의 죽음의 녹변 - 믜디일보
대구, 보름째 폭염경보 지속…`온열질환 각별히 우려` 건강하고 아름다운 녹색이 아니다. 죽음으로 숨 막히게 뒤 덮힌 `부영양`화다. 대구·경북 일대 뿐만이 아니다. 이미 경기도 대청호 인근부터 전국이 폭염 아래 녹조로 뒤덮여 버린 상황이다. 녹조 속 독성물질이 공기로도 전파 된다는 연구 결과도 이미 나와 있다. (사진: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와 대학 연구팀) 대체로 짧은 장마뒤 섭씨 30도를 오르내리는 더위가 계속되면서 어김없이 강들마다 녹조현상으로 뒤덮였다.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23252
대구 강 보 전부 철거하라!···경남도동향, 낙동강 녹조 전담기관·방산부품연구원 설립 건의등 - 믜디일보
체코 남모라비아주 '우호교류→친선결연' 격상 동의안 등 17건 안건 처리 경남도의회는 18일 제415회 임시회 2차 본회의를 열어 대정부 건의안 5건을 의결했다. 도의회는 먼저 국가 차원 녹조대응전담기관 설립을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매년 여름철 경남도민 식수원인 낙동강에 녹조가 창궐하다시피 한다. 조인종(밀양2) 의원 등 건의안을 발의한 29명은 낙동강 녹조 문제를 해결하려면 환경부 등 여러 기관에 흩어진 녹조 관련 기능을 통합 조정하고,
http://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