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캄차카반도 화산 [EPA/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규모 8.8 강진 여파로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의 화산이 동시다발적으로 분화하며 수㎞의 화산재 기둥이 솟아올랐다고 5일(현지시간)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과학아카데미 극동지부는 이날 클류쳅스카야 화산이 이날 7㎞ 높이로 화산재를 분출했으며, 전날에는 최고 9㎞의 화산재 기둥이 생겼다고 러시아과학아카메디 극동지부가 밝혔다.
크라세닌니코프 화산도 6㎞ 높이 화산재 기둥을 내뿜었으며 화산재가 동쪽과 남동쪽으로 160㎞를 이동했다고 밝혔다. 이 화산은 클류쳅스카야 화산의 성층화산 중 하나로 지난달 30일 캄차카반도 인근 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8.8 강진 영향으로 16세기 이후 처음 분화했다.
현지 언론은 현재 캄차카반도에서 클류쳅스카야, 크라세닌니코프, 베지먀니, 캄발니, 카림스키, 무트놉스키, 아바친스키 등 화산이 동시에 활성화됐다고 전했다.
캄차카반도는 태평양 '불의 고리'에 걸쳐 화산과 지진 활동이 왕성한 지역이다. 2014년에는 캄차카반도의 화산 8개가 동시에 분화하기도 했다.
러시아 당국은 이 지역 활화산에서 6∼10㎞ 높이로 화산재가 분출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들 화산 반경 10㎞ 내로 진입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734557
규모 8.8 강진이 깨웠나, 잠자던 캄차카 화산 수백년 만에 분화…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해역은 규모 6.8 지진 발생 - 믜디일보
크라셰닌니코프 폭발로 화산재 기둥 6천m 치솟아…주변에 항공운항 '주황' 등급 러시아 캄차카반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남남서쪽 277km 해역은 규모 6.8 지진 발생 지난 2020년 위성사진으로 촬영된 러시아 캄차카 반도의 클류쳅스카야 화산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촬영한 지난 2020년 4월 러시아 캄차카 반도의 클류쳅스카야 화산 가색상 사진 모습 [EPA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에서 규모 8.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730917
'불의 고리' 캄차카 73년만의 8.8 초강진…3∼4m 쓰나미로 러 항구도시 홍수, 일본 혼슈 등지 쓰나미 발생 - 믜디일보
수차례 강한 여진…일본·러 극동 등 쓰나미 경보·긴급 대피령'불의 고리' 캄차카 73년만의 강진…하와이·필리핀·뉴질랜드까지 긴장 러시아, 쓰나미 겪은 쿠릴열도에 비상사태 선포 일본 홋카이도 쓰나미 30㎝ 관측…`한반도엔 큰 영향 없어` `日혼슈 동북부 이와테현에 1.3m 높이 쓰나미 관측` 러시아 북부 쿠릴열도 파라무시르 섬에서 발생한 쓰나미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오호
http://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