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문 청동기, 금관 등 국보·보물의 특별한 외출…서사, 그 說話의 혼들 장인화의 결정체

류임현 기자 승인 2024.04.25 17:30 | 최종 수정 2024.04.25 17:34 의견 0

국립중앙박물관, 공립박물관 12곳과 '국보 순회전: 모두의 곁으로' 전시회

상·하반기 각 6곳서 '작은' 전시…"함께 누리는 문화 기반 첫걸음"

서사, 나라시온(narración) 그 說話의 혼들...장인화의 결정체

국립중앙박물관은 전국 12곳의 지역 공립박물관과 함께 국보급 우리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순회 전시 '국보 순회전: 모두의 곁으로'를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려는 시도다.

올해 초 박물관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 문화유산 2천724건 가운데 42.8%에 해당하는 1천165건은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지역에서는 이를 쉽게 접할 수 없는 게 사실이다.

보물 '농경문 청동기'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에 보물 '농경문 청동기'가 전시돼 있다.

한 면에는 '따-비(따보)'로 밭을 일구는 남성과 새 잡는 여성, 다른 한 면에는 솟은 나뭇가지 위에 새가 앉아 있는 장면을 새긴 유물로 농경과 관련된 제사를 지낼 때 쓰던 도구등 용도로 추정되고 있다.

X


보물 '농경문 청동기' 지난해 8월 찍은 사진 2024.4.25.

대전(大田, 따,타, 한,큰, 밭) 괴정동 인근에서 발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따비 ; '농경문 청동기'에 새겨져 있는 따비에 대한 고찰과 가설들은 대체로 농경 도구로 정리되어 있으나, 상세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지 필자의 가설을 좀 더 부가 기재해 둔다.

필자는 따비가 15세기 국어 표기 이후 따보, 따부, 따븨 등으로 기록된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청동기 전후로 전래된 용도에 대하여는 현재 전하는 것은 별반 남아 있지 않은 것도 확인하였다.

그러나 청동시대 방울등과도 같이 추정컨대 선사 초기 이후 본래 전래는 T, 치- 등 도구에서 점차 '따-'로 전개된 도구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무엇인가를 '따-'는 용도가 더 앞 섰던 것으로 추정한다. (포르투갈어 등 tá bom, 따 봉 전래도 확인 가능하다.)

선사 초기 빗이나 빗금 용도의 비, 페이네(peine) 등 생활 소도구에 대하여, 치-는 도구중 현재 장도리 (초기 발음은 단도리, 탄도리 등 추정) 모형 도구와도 같은 작은 따- 도구가 점차 높은 곳의 우에 달린 열매를 따거나 이후 풀을 뽑거나 등 용도로도 전개되었으며, T 치-의 선사 제례 당시 용도는 티아라이, 따- 뚜(두) 오르레이, 등 선별과 트기 행사등과도 같이 겨루는 순위나 장을 결정하고 내려쳐서 '따는' 용도등으로도 쓰였을 것이다.

물론 선사 초기 고을을 지키는 '봉'으로도 쓰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로, T 치- 외, 신라시대 이행 초기의 것으로 전하는 설화에도 군왕 자리를 다투고 신체를 분할하여 뿌리는 일종의 동남아, 남미 '하이누웰레'형의 설화 원형도 확인된다.

다만, 픠힘의 밝산, 백제 금속제 금동 향로의 전래 양상과는 차이를 보인다.)

보물 '농경문 청동기'는 이미 상당 정도 농경 사회화가 더 진행된 이후 아보-디, 아부-디, 아븨의 장정이 따- 기구로 농사를 짓는 따-보, 따-부, 따븨(비)를 좀 더 기념하여 새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시대 무구 등으로 추정되는 청동방울과도 같이 판단될 이유가 있다.

길이가 13.5㎝인 얇은 판에 밭을 일구는 남성과 새 잡는 여성 등을 섬세하게 새긴 '농경문 청동기' 유물은 이 번 '시대를 담다' 순회 전시에서는 충남 당진 합덕수리민속박물관과 충북 증평 민속체험박물관에서 선보인다.

X
'시대를 담다, 농경문청동기' 주요 전시품 충남 당진 합덕수리민속박물관과 충북 증평 민속체험박물관에서 선보이는 유물.
왼쪽부터 보물 '농경문 청동기', 국보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오랜 시간 잠들어있다가 1921년 9월 그 화려함을 세상에 빛냈으며 잃어버리지 못한 신라의 금관과 금 허리띠는 충남 보령과 전북 장수를 찾는다.

교과서에 나오는 귀한 국보·보물들이 특별한 나들이에 나선 것이다.

국보 '금관총 금관'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물관은 대중에게 잘 알려진 국보, 보물 등을 중심으로 6가지 주제의 전시를 꾸려 지역에서 선보일 예정인 것으로, 주제별로 3∼7점을 소개하는 '작지만 알찬' 전시 기획이다.

상반기에는 당진·보령·합천·상주·강진·남원 등 6곳에서, 하반기에는 같은 주제의 전시를 증평·장수·고령·해남·함안·양구에서 각각 선보일 예정이다.

X
'금관총 금관, 그리고 이사지왕' 주요 전시품 충남 보령 석탄박물관과 전북 장수 장수역사전시관에서 각각 전시할 예정인 유물.
왼쪽부터 국보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국보 '금관총 금제 허리띠' [국립중앙박물관 제공금관총 금제 허리띠]

순회 전시는 6월 5일 합천에서 시작한다.

합천박물관은 신라 왕(마립간)의 위세가 절정에 달했던 5∼6세기 사회상과 문화를 보여주는 금 장신구를 소개한다. 금령총에서 출토된 보물 금관과 금 허리띠, 금방울이 전시된다.

같은 전시는 고령 대가야박물관에서 9월 26일부터 약 3개월간 진행된다.

X
'금관과 금방울, 어린 영혼과 함께하다' 주요 전시품 경남 합천 합천박물관과 경북 고령 대가야박물관에서 각각 6월과 9월에 전시하는 유물.
왼쪽부터 보물 '금령총 금관'과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금령총 출토 금방울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금령총에서 출토된 한 쌍의 말을 탄 사람 모양 토기(정식 명칭은 국보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를 포함한 토기 5건 6점은 상주와 해남을 찾아 유물의 멋과 매력을 뽐낸다.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지역 박물관과 '짝'을 이뤄 함께 준비한다.

예를 들어 국보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등 고려청자를 소개하는 '도자기에 핀 꽃, 상감청자' 전시의 경우, 강진 고려청자박물관에서 열리는 전시는 국립광주박물관이, 함안박물관 전시는 국립김해박물관이 각각 돕는다.

X
'기마인물형토기와 상형 토기 이야기' 주요 전시품 경북 상주 상주박물관과 전남 해남 공룡박물관에서 열릴 선보일 유물.
왼쪽부터 국보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금령총 출토 배 모양 토기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물 보존·관리에 문제가 없도록 전시 진열장도 별도로 준비할 예정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작은 규모지만 최신 전시 연출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문화·예술 행사를 병행해 지역 문화 축제의 장으로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X
'도자기에 핀 꽃, 상감청자' 주요 전시품 전남 강진 고려청자박물관과 경남 함안 함안박물관이 각각 6월과 9월에 선보일 유물.
왼쪽부터 국보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청자 상감물가풍경무늬 매병, 청자 상감국화무늬 잔과 잔받침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날 지방자치단체 12곳의 대표와 주요 관계자를 서울 용산 박물관으로 초청해 업무협약(MOU)을 맺고, 전시 일정과 세부 계획 등을 논의했다고 전한다.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이번 전시의 키워드는 '함께 한다'"라며 "대한민국 어디서나, 빈틈없이 함께할 수 있는 문화 기반을 만드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X
'순백의 아름다움에 빠지다, 조선백자' 주요 전시품 전북 남원 김병종미술관과 강원 양구 백자박물관에서 각각 전시할 유물.
왼쪽부터 백자 달항아리, 국보 '백자 천·지·현·황 명 발', 백자 병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류임현 기자

저작권자 ⓒ 믜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