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분할 파격 백제국 익산 미륵사지에 남은 역사적 흔적 발굴…롷까! 롬(눔)! 143㎝ 높이 장식기와 첫 공개

류임현 기자 승인 2024.10.21 15:08 | 최종 수정 2024.10.21 15:22 의견 0

국립익산박물관 개관 5주년 특별전서 치미 조명…치미 조각 등 185건 한자리에

X
복원한 미륵사지 동원 승방 터 출토 치미 [국립익산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치미는 전통 건축물에 사용되는 장식 기와로, 지붕 용마루 끝에 설치해 위엄을 높이고 나쁜 기운을 쫓는 역할을 했다.

백제 최대의 사찰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익산 미륵사 역시 다양한 치미로 지붕을 장엄했다.

실상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미륵산 기슭에 위치했던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은 백제의 무왕이 639년 창건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서동(맛동) 설화 등과도 관련 여러 이견이 나오고 설왕설래가 계속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대략 축조의 시기가 7세기 무왕(재위 600∼641) 대로 알려진 미륵사의 터에서는 다양한 형태와 문양을 담은 치미 조각 900여 점이 출토된 바 있는 것.

X
미륵사지 연못 터에서 출토된 치미 조각 [국립익산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륵사의 옛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역사의 흔적, 치미를 조명한 전시가 열린다.

국립익산박물관은 개관 5주년을 기념해 이달 22일부터 특별전 '미륵사지 출토 치미 -제작, 폐기, 복원의 기록-'을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각종 치미를 연구·분석한 성과를 소개하는 자리다.

동쪽 승방으로 추정되는 건물터에서 나온 치미와 연못 터에서 나온 치미 조각 등 치미 관련 유물 총 185건을 한자리에 모았다.

전시는 과거 치미가 어떠했을지 찾기 위한 노력을 비추며 시작된다.

그동안 조사를 통해 밝혀진 치미의 내부 구조와 제작 방법을 소개하고, 이물질 제거부터 색 맞춤에 이르는 보존 처리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준다.

X
백제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미륵사지 치미 [국립익산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물관 측은 "다양한 문양과 형태가 남아있는 미륵사지 치미는 고대 한반도 치미의 변화 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라고 강조했다.

미륵사지 사역에서 출토된 다양한 치미 조각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연못 터, 회랑 터, 배수로 등에서 발견된 조각은 크기도, 모양도 제각각이다. 전시장에서는 치미를 구성하는 머리, 허리, 등, 꼬리, 깃 등 다양한 부분을 살펴볼 수 있다.

버선코처럼 들려 있는 꼬리, 꼬리와 깃의 끝에 있는 구멍 등도 눈여겨볼 만하다.

X
주요 전시품 왼쪽부터 미륵사지 북편 후대 건물터 출토 치미 조각, 고려시대 건물터 출토 치미 조각, 연못 터 출토 치미 조각 [국립익산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조각에 남아있는 용무늬, 연꽃무늬, 덩굴무늬 등은 삽화(일러스트)를 활용해 보여준다.

이번 전시의 백미는 높이가 143㎝에 이르는 치미다.

미륵사지 동원(東院) 승방 터에서 출토된 대형 치미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 상·하부를 합쳐 완전한 형태로 복원됐다.

보존 처리를 마친 유물을 처음으로 일반 관람객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X
미륵사지 출토 치미 설치 모습 [국립익산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박물관 관계자는 "상부 하나 운반하는 데에만 성인 남성 3명 이상이 동원되는 대형 치미로, 건축물의 규모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화유산"이라고 설명했다.

연못 터에서 나온 치미도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는 내년 3월 3일까지.

X
미륵사지실 상설 전시 모습 [국립익산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륵사 및 돌탑(화강암) 관련사진 게재

익산 용화산의 미륵사 돌탑(화강암)의 내부 1층 십자통로.
현존 탑들중 가장 오래되고 큰 사이즈다.

익산 용화산 미륵사 돌탑(화강암)의 전경. (2019년)

돌탑 서탑 하부 사리병과 금제사리봉영기
서쪽 탑을 해체하던 중 2009년 1월 첫 번째 심주석(心柱石) 안에 봉안된 사리병과 금제사리봉영기, 구슬 등 사리장엄구 9900여 점이 나왔다.

익산 용화산 미륵사 돌탑 동탑 앞 당간지주.
약 천 사 백년의 모진 비바람을 견뎌내고 여전히 꿋꿋히 서 있다.

미륵사 3원 가람 디지털 복원도. (문화유산 기술연구소 제작)
미륵사는 돌탑 동탑과 서탑 일부, 당간지주 등 일부 외 미륵사지 터만 남아 있으며, 대부분의 유물은 터 하부에 묻혀 있던 것이 발굴된 것들이다.
전형적 1탑1금당의 백제식 가람 배치와 달리 본래는 3탑3금당의 독특한 배치였다.

참고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411642#

저작권자 ⓒ 믜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