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산불'에 갇힌 경북북부…일상이 멈췄다 "숨쉬기도 힘들어"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병산서원 불길 근접…천년고찰 고운사도 전소
나흘만에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강풍 타고 걷잡을 수 없이 확산
초기진화 실패에 천문학적 국토 피해…"비 내리면 꺼질까"
영양서 시신 4구 발견…의성산불 사망자 6명으로 늘어
"산불로 인한 소사 추정"…"사건 초기 단계로 신원 특정 안 돼"
X
안동 남선면까지 번진 산불
25일 경북 안동시 남선면 인근 야산으로 불이 번지고 있다. 2025.3.25
안동 산불
25일 경북 안동시 남안동 IC 인근에서 바라본 안동시 일직면 야산이 불에 타고 있다. 2025.3.25
안동으로 번진 산불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으로 번진 가운데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 일대 야산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2025.3.2
강풍 타고 번지는 산불
안동 길안면 산불
경북 의성 산불이 안동 길안면으로 번져 25일 이틀째 확산하고 있다.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안계리에서 발생한 산불의 불씨는 24일 오후 4시께 강풍을 타고 북동쪽으로 20여㎞ 이상 떨어진 안동시 길안면까지 덮쳤다. 2025.3.25 [안동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 남선면까지 번진 산불
25일 경북 안동시 남선면 인근 야산으로 불이 번지고 있다. 2025.3.25
"경북 동북부가 산불에 갇혔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번지면서 25일부터 경북 동북부 대부분이 산불에 고립되고 있다.
25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의성 산불은 지난 24일 안동시 길안면까지 번진 것에 이어 25일에는 안동 풍천면과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까지 번지고 있다.
특히 안동 풍천면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이 흩어져 있어 관계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불길이 겉잡을 수없이 번지고 있지만 산불 현장에는 며칠째 강한 바람이 계속돼 진화 속도가 번지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진화율은 바람 방향이나 풍속에 따라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고 있다.
◆ 산불 발생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께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 정상 부근에서 산불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군청의 연락을 받고 현장을 찾은 마을 주민 A씨는 산에서 내려오는 성묘객을 발견했다.
의성군과 경찰 등은 최초 신고 당시 상황 등을 미뤄 성묘객 일행의 실수로 산불이 난 것으로 보고 진화 작업이 끝나는 대로 조사를 할 방침이다.
안평면에서 최초 산불이 난 뒤 얼마 지나지 않은 22일 오후 2시 39분께는 인접한 안계면에서도 산불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산불 신고가 접수된 것은 두 건 산림·소방당국은 산불 대응 단계를 차츰 상향하고 헬기 수십대를 투입하며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순간풍속 초속 20m 안팎의 강풍이 불고 있으며 현재까지 천문학적인 국토 피해를 입히고 있다.
안동 남선면까지 번진 산불
25일 경북 안동시 남선면 마을에서 주민들이 야산에 번진 산불을 바라보고 있다. 2025.3.25
국립경국대에서 바라본 안동 산불 모습
경북 의성에서 번진 산불로 국립경국대 안동캠퍼스에도 대피령이 내려진 가운데 25일 국립경국대 안동캠퍼스에서 바라본 일대 산불 모습. 2025.3.25 [경북소방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그래픽] 의성 산불 안동으로 확산
경북 의성에 난 산불이 안동 풍천면으로 번지면서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까지 직선거리로 10㎞ 앞까지 닥쳤다.
'만휴정을 사수하라!' 아! 그러나!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난 산불이 바람을 타고 동진하면서 안동까지 번진 가운데 경북도소방본부 관계자가 25일 안동 길안면 묵계리 만휴정을 둘러보던 당시의 만휴정. 조선시대인 1706년 문신인 보백당(寶白堂) 김계행이 만년을 보내기 위해 건립한 곳으로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다만 현재 2025.3.25 [경북도소방본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경북 의성에서 안동 길안면으로 번진 산불로 안동 만휴정 등 문화재와 목조건물도 이미 불에 탄 것으로 전해졌다.
안동시는 산불 확산에 대비해 길안면에 있는 만휴정과 용담사, 묵계서원에 소방차와 인력을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으나 불이 급속도로 확산, 청송으로 번지면서 25일 오후 4시 이후 장비와 인력을 철수했다.
불이 만휴정 바로 뒤로 덮치는 것을 보고 직원들이 급히 철수한 만큼 만휴정이 불에 탔을 것으로 시는 추정한다.
또 용담사와 묵계서원도 가까운 곳에 있어 함께 피해를 봤을 것으로 본다.
이후 산불로 현장 접근이 안 돼 소실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급하게 철수하느라 소실이나 전소 등은 확인하지 못했고 현재 불과 연기로 인해 현장 접근을 할 수 없어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경북도와 안동시는 불길이 계속 확산하자 지난 24일 용담사 불상 4점과 탱화 5점, 금정암 불상 3점과 탱화 5점, 기타 문화재 6점을 안동 세계 유교문화박물관으로 미리 옮겼다.
이 문화재들은 비지정 문화재들이다.
문화 유산자료인 용담사 무량전과 금정암화엄강당은 건축물이어서 이동을 하지 못했다.
용담사는 안동시 길안면 금곡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 소속 사찰이다.
만휴정은 조선시대 문신인 보백당(寶白堂) 김계행이 만년을 보내기 위해 건립한 곳으로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촬영지로 알려져 더욱 유명해진 곳이다.
길안천 맞은편의 묵계서원은 김계행 등을 봉향하는 서원으로 숙종 13년에 창건됐다. 1980년 6월 17일 경북도 민속문화 유산으로 지정됐다.
[그래픽] 경북 의성 산불 확산
25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나흘째 확산 중인 '괴물 산불'이 안동을 지나 청송 주왕산 국립공원과 영양, 영덕까지 확대됐다.
바람에 계속 번지는 산불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의성군 안계면 안정리 일대에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인근 야산으로 번지고 있다. 2025.3.25
안동 남선면 야산
25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의 한 도로 옆 야산으로 불이 번지고 있다. 연합뉴스
안동 하회마을은 요행히 강으로 둘러쌓여 있는 지형에 위치해 있으나 연일 긴장감으로 만반의 대비를 한 상태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 하회마을 모습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의성→안동→청송→영양 갈수록 확산
소방청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고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가 현장에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산불은 확산을 멈추지 않고 있다.
22일 안평면에서 시작한 산불은 강풍을 타고 동쪽으로 번지기 시작했다.
불은 옥산면과 점곡면 등 의성군 동부를 지났고 24일에는 안동시 길안면, 남선면, 임하면 등에서도 불길이 목격됐다.
이 과정에서 상승기류 타고 불기둥이 솟아오르는 현상이나 불기둥에서 떨어진 불씨가 산과 산 사이를 가로지르는 일명 '도깨비불'로 불리는 '비화'(飛火) 현상이 곳곳에서 목격되기도 했다.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에도 진화작업이 계속됐지만 풍향이 수시로 바뀐 탓에 산불은 동쪽과 북쪽 양 갈래로 나뉘어 겉잡게 수없이 번져나갔다.
25일 오후에는 의성에서 북동쪽 방향으로 불이 번지기 시작해 한 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병산서원과 직선거리로 불과 10㎞ 떨어진 곳까지 불길이 번지기도 했다. 다행히 풍향이 바뀌면서 하회마을·병산서원 쪽으로 번지던 불은 기세가 누그러진 상태이다.
의성군 옥산면에서 안동 길안면 방향으로 번지던 불은 드라마 '미스터 션사인' 촬영지로 잘 알려진 만휴정과 근처 묵계사원을 삼킨 뒤 계속 동진했다.
이 불길은 25일 오후 안동을 넘어 청송군과 영양군, 영덕군까지 번졌다.
계속되는 의성 산불
25일 경북 의성군 옥산면 당진영덕고속도로 인근 신계리 일대에서 산불로 인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2025.3.25
재확산하는 온양 산불
25일 오후 울산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에서 발생한 산불이 재확산하고 있다. 2025.3.25
산불 전쟁터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강풍에 날아온 산불 불씨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있다. 2025.3.25
주왕산국립공원 앞까지 온 산불
25일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 경계 지점까지 산불이 확산해 있다. 2025.3.25 [독자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청송 주왕산 근처까지 번진 산불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25일 오후 청송군 주왕산 국립공원 근처까지 번지고 있다. 사진은 청송읍내에서 주왕산 방향을 바라본 상황. 2025.3.25 [독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수천명 대피…농촌 특성상 노인인구 많아
이번 불로 대피한 현재 주민은 어림잡아도 수 천명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진화가 완료된 뒤에도 이재민의 규모가 어디까지 이를 지 가늠하기도 힘든 상태다.
의성군과 경북도는 산불 초기 의성지역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 중이던 337명은 무사히 대피시켰다.
화재 발생 당시 의성 관내 3개 병원과 1개 요양원에는 346명이 입원해 있었다.
의성군 등은 귀가 또는 외박을 택한 일부 환자를 제외한 337명을 보건소와 소방서 등에 소속된 구급차와 버스를 이용해 안동과 문경 등지로 옮겼다.
중증응급의료센터와 구급상황관리센터 등과 합동으로 모바일 상황실을 활용하는 등 체계적으로 이송이 이뤄진 덕분에 별다른 인명피해는 발생하지는 않았다.
환자 이외에도 의성의 산불 영향구역에 살던 주민 수천명도 대피명령 등에 맞춰 순조롭게 대피했다.
불이 안동까지 번지면서 길안면과 풍천면 등지에서도 1천여명이 대피했다.
안동 병산서원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긴장감 흐르는 안동 병산서원 [촬영 손대성]
안동 병산서원 [촬영 손대성]
안동 병산서원 앞에 대기한 비상 차량 [촬영 손대성]
X
하회마을에 물 뿌리는 소방관
25일 경북 안동 하회마을에서 소방관이 산불에 대비해 물을 뿌리고 있다. 2025.3.25
◆ 천년고찰 소실에 세계문화유산까지 '위기'
불로 통일신라시대 때 창건한 천년고찰 의성 고운사가 불에 타는 등 문화재 소실도 잇따랐다.
25일 오후 4시 50분께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가 불에 탔다.
신라 신문왕 1년(681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이 절은 경북을 대표하는 사찰 중 하나이다.
보물 제2078호로 단청이 유명한 고운사 연수전도 불에 탔다. 불행 중 다행으로 고운사가 소장 중이던 보물 제246호 석조여래좌상 등 유산은 화마가 덮치기 전 다른 곳으로 옮겨져 소실을 면했다. 승려들도 미리 피신해 화를 입지는 않았다.
드라마 '미스터 션사인'의 촬영지로 잘 알려진 안동시 길안면 만휴정도 불길을 피하지는 못했다.
안동시 등은 지난 24일 오후 길안면과 의성군 옥산면 경계 지점에 불꽃이 목격된 뒤 만휴정 주변에 소방장비 등을 배치해 건물에 물을 쏟아붓고 불길에 대비했다. 이런 노력에도 만휴정은 이날 오후 불길에 휩싸였다.
배우 이병헌과 김태리가 서로를 바라보던 장면의 배경이 되었다는 만휴정은 볼 수 없게 됐다.
만휴정뿐만 아니라 보백당 김계행을 배향한 묵계서원과 안동 용담사 등도 불길에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산불 발생 첫날인 지난 22일에는 의성군 안평면에 있는 비지정 문화재인 운람사의 전각과 부속건물 등이 전부 불에 탔다. 운람사에 있던 아미타삼존, 탄생불, 신중탱화 등 문화재급 유산은 불길이 덮치기 전 근처 조문국박물관으로 옮겨져 소실을 피했다.
경북 의성 고운사 현장 모습
고운사 주차장에서 촬영한 사진 [경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동 준비 중인 보물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봉정사 둘러보는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촬영 천경환 기자]
봉정사 주변에 물 뿌리는 유니목 차량 [촬영 천경환 기자]
◆ 철도에 고속도로·국도까지 통제
크게 확산하는 산불로 고속도로와 국도에 이어 철도 교통까지 통제되는 상황이 이어졌다.
코레일은 산불에 따른 사고를 막기 위해 지난 22일 오후 중앙선 안동∼경주 구간의 운행을 중단했다.
열차는 통행을 재개하기도 했지만, 불길이 사방으로 번지면서 코레일은 25일 오후 중앙선 영주∼경주 구간의 운행을 다시 중단했다.
한국도로공사도 화재 첫날 중앙고속도로 안동분기점(JCT) 주변,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의성나들목(IC)∼안동JCT의 양방향 통행을 통제했다.
도로공사는 진화 정도와 불길의 방향에 따라 일부 구간의 통행을 재개와 통제를 반복했다.
25일 오후 5시 기준 산불로 통행이 제한되는 고속도로는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의성IC∼영덕IC 94.6㎞ 구간 양방향, 중앙고속도로 의성IC∼서안동IC 37.6㎞ 구간 양방향이 통제되고 있다.
철도와 고속도로 외에도 의성과 안동을 지나는 일부 국도와 지방도도 연기로 뒤덮인 곳에서는 통행이 통제되고 있다.
X
'의성 산불 나흘째' 폐허로 변한 산림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산불이 휩쓸고 간 의성군 산림이 폐허가 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산불이 안동시 쪽으로 번져나가고 있다.
지난 22일 발생한 의성 산불의 산불영향규모는 현재까지 1만2천565㏊로, 2000년 4월 강원 강릉·동해·삼척·고성 산불(2만3천913ha), 2022년 3월 경북 울진·강원 강릉·동해·삼척 산불(2만523ha)에 이어 국내 산불 피해 규모로는 세 번째로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25.3.25
산불이 만든 지옥도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강풍에 날아온 산불 불씨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있다. 2025.3.25
산불에 경북북부교도소 수용자 이감
25일 경북 청송군 경북북부제1교도소(옛 청송교도소)에서 수용자를 태운 법무부 버스가 나오고 있다. 법무부 등에 따르면 교정 당국은 이날 오후 경북북부교도소가 있는 경북 청송군 진보면 일대까지 산불이 번지자 버스를 이용해 수용자들을 인근 교정기관으로 이감하는 절차를 시작했다. 2025.3.25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5634
개 같이 탈출! 도깨비불처럼 번져! 의성 '괴물 산불' 안동까지 확산…사흘째 걷잡을 수 없어 장기화 우려 - 믜디일보
`야속한 강풍` 의성 산불 왜 안꺼지나…진화대원마저 일시 대피사흘째 진화 더뎌…강풍에 '발목', 안동까지 확산 장기화 우려 산림 당국 `바람 초속 6m로 불면 산불 확산속도 26배 빨라` 초속 10m 이상 강한 바람에 낮 기온 25.5도… 강한 바람·건조한 날씨 등 악조건 더딘 진화에 피해 눈덩이 고속도로 휴게소 건물도 연소, 의성·안동 주민 대피…청송군도 긴장 `내원암은 괜찮을까요`…울주 산불, 신라시대 천년고찰도 위협문화유산자료 산성인 '운화리성지'도 피해 추정 물 뿌리고, 유물 긴급 이송까지…산불에 문화유산 안전 '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4109
기변시대 강도 높아지는 건조·강풍 재해 우려…경남·북, 울산, 충청, 강원까지 곳곳서 산불 사흘째 야간 대응 돌입 - 믜디일보
성묘 예초기 불똥에도 삽시간에 산불로 번져...밭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철재 울타리 용접작업 불씨도 주변으로 급속 확산 경남서 하루 세 지역 산불…산청·김해 야간 대응 돌입 강한 바람·건조한 날씨 등으로 진화 지연…함양 산불은 주불 진화 완료 사흘간 사상자 10명·이재민 1천988명·주택 110동 불에 타 중대본 `산청·의성 등 동시 산불로 산림 7천778㏊ 피해` 울주 산불 이틀째 192㏊ 피해 추산...밤새 강풍 예상, `내일도 주불 진화 장담 못 해` '동백 군락 천연기념물' 울산 목도 섬 화재…200㎡ 불타 잇단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3567
봄철 건조한 강풍 경남·북 동시다발 산불 재난 사태 선포…진화대원 벌써 4명 사망, 주민 수백명 대피 - 믜디일보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재난 사태 선포…경남 산청군 특별재난지역 선포 경남 산청 산불 이틀째, 역풍에 갇힌 진화대원 4명 숨지고 5명 부상 역대 6번째 대형산불 특별재난지역…정부 차원 신속 수습·피해 지원 경북 의성 '산불 3단계', 울산도 '2단계'…이재민 700명 넘어 산림청 위기 경보 '심각' 발령, 정부 3개 지자체에 '재난 사태' 선포 '남고 북저' 기압계 속 건조한 강풍 불어…동해안 경남내륙 습도 '뚝' 초건조한 봄철 강풍 잦아 성묘객, 산행객들 작은 불씨에 대형화재 가능성 각별히 주의
http://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