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 및 광물기업 마덴 합작법인설립 146조 투자
…글로벌 리튬 생산 시장 관심 촉각 경쟁모드 후끈
탈(脫)석유를 추구하는 사우디아라비아가 광물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미국 방송 CNBC에 따르면 칼리드 알 무다이퍼 사우디 산업광물부 차관은 15일(현지시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연례 미래 광물 포럼에서 1천억달러(약 146조원) 규모의 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이 중 200억달러(약 29조원) 투자는 이미 설계 단계나 건설 단계에 있다고 덧붙였다.
무다이퍼 차관이 세부 내용을 밝히지 않았지만, 그간 사우디 정부는 리튬뿐만 아니라 구리, 금, 아연, 희토류 탐사를 대폭 확대하는 계획을 논의해왔다.
지난해 초 산업광물부는 미개발 광물자원의 잠재 가치를 1조3천억달러(약 1천890조원)에서 2조5천억달러(약 3천640조원)로 높이고 광물 탐사를 위한 1억8천만달러 규모의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는 이날 국영 광산기업 마덴과 광물 탐사·생산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을 발표했다.
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포럼에서 아람코가 자사의 사업장들에서 400ppm을 초과하는 "유망한" 리튬 농축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빈 살만 장관은 "우리는 아람코가 할 일이 아무것도 없다고 말하곤 했는데 아람코는 다각화된 회사가 될 수 있으며 아람코가 할 일은 제한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가능한 협력을 통해 리튬 생산이 이르면 2027년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2월 사우디는 아람코 유전의 소금물 샘플에서 리튬을 성공적으로 추출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무다이퍼 차관은 마덴, 아람코, 현지 추출 스타트업 리튬인피니티 등의 협력을 통해 조만간 직접 추출을 위한 상업용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필수 소재인 리튬은 에너지 전환과 첨단 기술 개발에 사우디가 석유에서 벗어나 경제를 다각화하려는 노력이 더해지면서 각광을 받고 있다.
빈 살만 장관은 마덴과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최근 설립한 투자사 마나라에 대해 "우리가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마나라를 만들었다"며 "가능한 한 빠르고 맹렬하게 이 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나라는 전 세계 광산 자산에 투자하고 탄력적인 글로벌 공급망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됐다.
대조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444440
밀레이 대통령 기후총회 대표단 철수뒤 미국 CPAC 만찬행 …'리튬 부국' 아르헨 첫 수산화리튬 공장 포스코 운영 대조 - 믜디일보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 참석한 자국 대표단에 철수를 명령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대표단 최고 책임자인 아나 라마스는 이날 가디언에 정부로부터 철수 명령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외무부에서 더 이상 참여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그게 내가 말씀드릴 수 있는 전부`라고 말했다. COP29는 지난 11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11일간 일정으로 개막했다. 아르헨티나 대표단은 개회한 지 불과 사흘 만에 귀국길에 올랐다. 지난해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414953
악셀.타! 美아칸소주 전세계 수요량 웃도는 리튬 발견…고비용 미완성기술 적용까지는 시간 걸릴듯 - 믜디일보
아칸소주 지하 염수층에 500만∼1천900만톤 확인소금물서 직접 추출하는 신기술 도입 가능 여부가 관건 미국 중남부 아칸소주에 현재 전 세계 수요량을 충족시키고도 남을 양의 리튬이 발견됐다고 미 지질조사국(USGS)과 아칸소주 정부가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USGS 소속 연구원들은 수질 테스트 및 머신 러닝을 이용한 연구 결과 아칸소주에 형성된 '스맥오버 지층' 일대에 약 500만∼1천900만톤 가량의 리튬이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280629
모래 광석서 리튬 추출 폐배터리서 돈 되는 금속 뽑는다…양극재 시장은 실적 바닥을 치다 - 믜디일보
이차전지 원료부터 소재·재활용까지 한번에…포스코 율촌 산단광석 1천㎏서 순수리튬 25㎏ 뽑아내…폐배터리서 1t당 최대 2천만원 유가금속 회수 포스코그룹,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언론에 첫 공개 ▷ -아래-는 연합뉴스와 전제계약된 기사로 그대로 게재합니다. `전기차 산업이 캐즘(Chasm·일시적 수요정체)으로 잠깐 주춤하지만 궁극적으로 탄소중립 시대는 무조건 옵니다. 자동차 폐배터리 패권을 누가 갖느냐를 놓고 경쟁하면서 오늘도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포스코H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403993
국립생물자원관, 폐배터리서 리튬 등 핵심광물 95% 이상 분리 미생물 발견 - 믜디일보
폐배터리에서 리튬과 같은 핵심 광물을 분리해낼 수 있는 미생물 3종을 발견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14일 밝혔다. 자원관에 따르면 작년 경북 한 폐광산에서 발견된 미생물 3종이 활성화된 용액을 리튬이온배터리 양극 활물질에 24시간 동안 침출(고체를 액체에 녹여 흘러나오게 하는 것)한 결과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가 95% 이상 분리됐다. 활물질은 배터리 양극과 음극에서 화학반응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물질로, 양극재에 있는 양극 활물질은 리튬이온을 지니고 있다가 배터리가 충전될 때 음극으로 리튬이온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52141
'EU 가입 희망' 세르비아,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 방문에 라팔전투기 12대 구매···리튬광산 재개 허가했는데! - 믜디일보
마크롱의 세르비아 국빈 방문에 맞춰 발표 발칸반도의 세르비아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국빈 방문에 맞춰 프랑스 라팔 전투기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AP 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은 전날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마크롱 대통령과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30억유로(약4조4천억원) 규모의 라팔 전투기 12대 구매 계약을 발표했다. 세르비아는 2028년부터 순차적으로 라팔 전투기를 도입해 옛 소련제 미그(MIG)-29 전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30434
'리오'도 싫네···세르비아서 '리튬광산 개발' 반대 대규모 시위 - 믜디일보
글로벌 기업 리오 틴토 리튬광산 채굴 재개…환경오염 우려río[리오]는 에스빠뇰어로 강을 이름 발칸반도 내륙국 세르비아에서 리튬 채굴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고 AFP 통신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날 환경단체를 비롯한 수만명이 수도 베오그라드 중심가를 행진하며 `리오 틴토는 세르비아에서 나가라`, `채굴 안 돼`를 외쳤다. 세르비아 내무부는 시위 참가 인원을 2만4천∼2만7천명으로 추산했다. 시위대는 베오그라드의 주요 기차역에 진입해 철로 점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2977247
中, '전략광물' 리튬 매장구역 매각 추진...대부분 대티벳 옛영토와 신장 등 자치구 소재 - 믜디일보
中, '전략광물' 리튬 매장구역 매각 추진...대부분 대티벳 옛영토와 자치구들 소재 리튬 발굴 매장량 1년새 57% 증가해 635만t…발굴 더 늘리게 할 수도 자연자원부, 전국 지방정부에 토지 경매 적용 땅값 매각 상한가 폐지 권고 경제 둔화 국면을 벗어나기 위한 토지 거래를 활성화 조치 미중 경쟁 속에 전략광물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는 중국이 배터리 원료로 쓰이는 리튬의 채굴·공급 확대를 위해 리튬 광산 사용권 매각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17일 중국 자연자원부가 리튬 자원 탐사와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2947547
원전 협력부터 꺼낸 젤렌스키…리튬 광산 공동개발도 제안 - 믜디일보
원전 협력부터 꺼낸 젤렌스키…리튬 광산 공동개발도 제안원전·방산·자원개발·재건사업 등 4대 분야 협력 요청우크라이나 재건협력단, 키이우 방문 마치고 귀국 젤렌스키 `한국 방산기술 협력하면 나토 수준 무기 제조 가능`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키이우를 찾은 한국 재건협력 대표단을 만나 원전, 방산, 자원개발, 재건사업 등 4대 분야 협력을 요청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직접 재건협력단을 만나 지원을 요청하면서, 우리 정부와 기업이 약 1천20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우크라이나 재건사
http://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