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개발하고 특화 거리 조성, 경관 다듬어 관광객 유치 목표 내세워
다만, 관광객은 어떻게 키우나? 유치(?)될 관광객으로 키워지려면?
또, 일반상업지역 상업시설로의 재정비 안은 마련되었나?
유치 관광객을 키우는 정책 권역을 찾아본다면?
X
사하구 하단 상권 [부산 사하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에서 상권이 침체한 부산대학교 앞과 하단역 일대, 기장시장 등 3곳에 160억원의 상권 활성화 예산이 투입된다.
부산시는 '2026 상권 활성화 사업' 공모에 부산대(금정구)와 하단역(사하구), 기장시장(기장군)이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외부 전문가 평가와 심의조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부산시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최종 사업대상지를 결정했다.
선정된 3곳에는 내년부터 5년간 국·시비가 투입된다.
부산대 앞에 60억, 하단역 일대 60억, 기장시장 일대 40억원이 투입된다.
부산대 앞과 하단역 일대는 지역에서 공실률이 손꼽히게 높은 곳으로 상권이 빠르게 침체해 대상지로 선정됐다는 것이 설명이다.
기장시장은 지역 유일 전통시장이 가진 역사성 등이 공모 과정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해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는 올해 각 구·군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만큼 지난해에 비해 선정지를 늘리고 지원 금액도 60억원 늘렸다.
지난해엔 동구 '초량이음 자율상권'과 남구 '유엔남구대학로 자율상권' 2곳이 선정돼 5년간 총 100억원의 예산을 약속받았다.
금정구는 부산대 앞 일대 브랜드 개발과 더불어 특화 거리를 조성하고 경관 개선에도 나설 계획이다.
부산 대표 대학가인 만큼 젊은 층과 관광객 유입을 늘리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기장군은 미역, 다시마, 쪽파 등 지역 특산물과 기장읍성, 장관청 등 역사·문화 자원을 연계한 상권을 재구축하고 상권 내 업종을 다각화할 방침이다.
상권 스토리 브랜딩 개발, 상인 통합컨설팅, 창업스쿨 운영, 기장 옛길 특화 가로 조성, 기장 물길 청년 상점 조성 등도 진행한다.
사하구는 상권 특성에 맞춘 거점 공간 조성, 특화상품·브랜드 개발 등 상권 맞춤형 종합 지원 사업을 한다.
소상공인 상생 기반 구축, 콘텐츠 발굴, 문화예술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상권 생태계 마련 등을 주요 과제로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유치하기 위한 관광객은 어떻게 키우는지?
유치(?)될 관광객으로 키워지는 방법은 무엇인지?
각종 의문이 더해지는 정책으로 보이는 것은 의혹이 커지는 대목이다.
유치 관광객을 키우는 정책 권역을 찾아보면 어떻겠느냐는 다른 마음이 생길 지도 모를 일이다.
또한, 주간선도로 등 대로변 일반상업지역까지 우후죽순 건축된 불법 주택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위반 건축물들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병행될 지 지켜볼 일이다.
X
하단상권 활성화 계획 [부산 사하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