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케네디 보건장관 "자폐증 데이터 프로젝트" 소개
...Kennedy's autism data project draws more than 100 research proposals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전직수장 9명 일간 뉴욕타임스(NYT) 초당적 공동기고문 파문
...대량해고·보건 프로그램 축소 등 과격 정책기조 비판 "안보에 폭넓은 영향"
U.S.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 로버트 케네디 쥬니어.
July 15, 2025. 미국 농림부 장관 부루크 롤린스 및 상원의원 로져 마샬과 같이 "건강한 아메리카여 다시한 번(Make America Healthy Again (MAHA)) 어젠다의 일환으로 순회회담 행사에 앞 서 수도 워싱턴의 의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아래- 로이터 기사 전문
Researchers have submitted more than 100 proposals to participate in the Trump administration's $50 million study into possible causes of autism, with a list of up to 25 grant winners expected to be announced by the end of September,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plans told Reuters.
연구원들은 100여개 이상의 제안서들을 제출했고 트럼프 정부의 5천만 달러 규모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자폐증의 가능한 원인들로 자리매김 시키기를 바라고 있으며, 25명에 이르는 보조금 수혜자 명단이 9월 말경 발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그 계획에 대하여 잘알고 있는 소식통들이 로이터에 전했습니다.
Health Secretary Robert F. Kennedy Jr. announced the Autism Data Science Initiative in May, and put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in charge of it. The program aims to mine large datasets to investigate possible contributors to autism and evaluate the outcomes of existing treatments.
Studies chosen for funding might begin to show results in two to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request for research proposals.
보건장관 로버트 케네디 쥬니어는 지난 5월 '자폐증 데이터 사이언스"의 이니셔티브에 대하여 발표했으며, 국립보건원(NHI)에 이를 맡겼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거대 데이터셋을 파내서 자폐증의 가능한 원인들을 조사하고 현존하는 치료법들의 결과 예후들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펀딩을 받게 되는 연구들은 아마도 이,삼 년 내로 결과치를 내놓기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 이 번 연구 제안서들을 검토한 정부측의 기대입니다.
The effort is proceeding separately from a review of vaccine safety commissioned by Kennedy, who has long promoted the idea that vaccines contribute to autism, contrary to scientific evidence. He has promised to announce health policy changes in September "that will dramatically impact the effects" related to autism, without providing details on the data that would support such changes.
이 번 프로젝트의 전개는 케네디 보건장관의 백신 안전성에 대한 불신과 재검토 하도록한 견해와는 별개로 진행됩니다. 케네디 보건장관은 사실상 지속적으로 백신들이 (오히려?) 자폐증에 기여를 하고 있다며, 과학적 증거들과도 반대되는 입장을 표명해 왔습니다. 그는 건강보건 정책의 변화들을 9월에 발표하는 것으로 약속해 온 것입니다. "효과가 있는 결과들이 자폐증과 관련 극적으로 효능을 가할 것이다"라고 했으나, 그러나 아직 그런 극적인 변동 주장들을 믿게 할 만한 데이터 상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힌 것은 아닙니다.
A spokesperson for the Kennedy-led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hich oversees NIH, said the agency is committed to addressing the rise in autism and will issue awards in September "pending receipt of scientifically meritorious ideas from the research community." They did not comment on any policy changes planned by Kennedy.
Proposals for the NIH grant funding involve nearly 500 major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advocacy organizations, and data firms, according to a list of applicants reviewed by Reuters. Among the prominent names: Harvard University, Columbia Universit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Stanford University and Johns Hopkins University.
"I know many colleagues who applied for it, because they weren't sure there would be any other funding for autism research anytime soon," said Dr. Helen Tager-Flusberg, director of Boston University's Center for Autism Research Excellence, adding they include many of the "most reputable scientists" in the field.
국립보건원 보조금 지원에 대한 지원서들은 사실상 약 500여개의 주요 대학들과 연구 기관들, 옹호 단체들, 그리고 데이터 회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알만 한 이름들로, 하버드 대학교, 콜롬비아 대학교, 브리검 여성 병원, 스탠포드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등입니다.
In August, the U.S. Supreme Court allowed the Trump administration to proceed with sweeping cuts to NIH research funding, including some projects related to autism. Some of the universities applying to the NIH autism program have separately seen scientific funding cut by the Trump administration over their diversity policies or allegations of antisemitism on campus.
지난 8월에 사실상 미국 대법원이 트럼프 정부가 국립보건원의 연구 보조금 펀딩 자체를 대폭 삭감 가능하도록 하면서, 자폐증 등 관련 프로젝트들이 그 목록에 포함되었습니다. 이 번 국립보건원의 자폐증 프로그램에 지원하면서 몇 몇 대학들은 그 한 편으로, 트럼프 정부가 그들의 다양성 정책 혹은 캠퍼스에서의 반유대주의 운동을 겨낭하며 과학연구 보조정책을 삭감해 오고 있는 실재도 목도하고 있습니다.
DRAMATIC RISE
Kennedy's assertion that the U.S. is in the grip of an "autism epidemic" fueled by "environmental toxins" has gained momentum as U.S. rates of the disorder have risen dramatically since 2000, to 1 in 31 children.
케네디 보건장관의 역설은 미국은 자폐증이 환경적 독소들로 촉진 증폭되는 유행병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으로, 이는 2000년대 이후로 31명의 어린이 가운데 1명 꼴로 아주 극적으로 이 이상증상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탄력을 받게 된 것입니다.
Decades of research has not yielded firm answers on what contributes to autism, but many scientists believe genetics, potentially in combination with environmental influences, play a role.
수 십년 간의 연구 결과도 여전히 명확한 답변으로 어떤 요인들이 자폐증에 기인(?)하고 있는지에 대하여도 내놓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과학자들은 (여전히) 유전자학, 유전적 특질로 인한 것으로 믿고 있으며, 잠정적으로 환경적 영향들과의 그 콤비 플레이로 보고 있습니다.
Experts say that autism cannot be described as an epidemic and that it may be due to a disruption in fetal development. Many say that the rise in autism prevalence is due to an expanded definition of the disorder and increasing awareness and diagnosis.
Applicants to the Autism Data Science Initiative were asked to describe how they would use datasets to seek clues about the genetic and non-genetic contributors to autism and to identify patterns associated with interventions and other services provided to people with the condition.
"The very large increase in autism prevalence that we've seen over the past 25 years leads to an obvious question: What is behind this increase?" Dr. Cindy Lawler, chief of genes, environment and health branch at th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said during a June webinar about the new funding initiative.
She added that environmental chemical exposures, parental or lifestyle factors, such as nutrition, pharmaceuticals, obesity, or birth factors, such as prematurity, could be areas of interest.
A large team at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ubmitted a proposal, currently under review, to analyze patient health records to search for common factors that may lead to autism.
Dr. David Kaelber, professor of pediatrics and population quantitative health sciences at the universit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sing real-world data to address questions about autism, including potential links to vaccine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rvard, Columbia, Brigham, Stanford, and Johns Hopkins did not respond to Reuters requests for comment.
Each project will undergo independent replication to help verify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new analyses, according to NIH's proposal.
One applicant, who submitted a proposal to study prenatal exposures that may cause autism, said he was impressed with the requirements to share data with a trusted partner for replication.
The applicant, who spoke anonymously to prevent jeopardizing the application under consideration, said he "hoped that all HHS-sponsored autism studies would be subject to the same scrutiny."
Reporting by Robin Respaut in San Francisco, Ahmed Aboulenein in Washington, and Julie Steenhuysen in Chicago; Editing by Michele Gershberg and Michael Learmonth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수전 모나레즈 신임국장 임명 당시.
현재 그녀는 로버트 케네디 Jr. 보건장관에 의해 경질되었다.
한편,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전직 수장 9명은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미국의 보건안보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경고하는 글을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공동기고했다.
이들은 기고문에서 "케네디가 모든 미국인의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며 케네디 장관이 최근 수개월간 CDC와 우리나라의 공공보건체계에 저지른 일은 전례가 없으며 결국 지난달 27일 수전 모나레즈 CDC 국장 해임에까지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지적에 따르면 케네디 장관은 보건분야 공무원들을 무더기로 해고했으며 암·심장질환· 뇌졸중·납중독·부상·폭력 등으로부터 미국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대폭 감축했다.
케네디 장관은 수십년만에 최대 규모의 홍역 유행 사태가 발생하는 와중에도 백신을 평가절하하고 입증되지 않은 비과학적 치료법을 부각했으며, 유망한 의학 연구들에 대한 투자를 취소해 향후 발생할 보건 위기에 미국이 대응하기 어렵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케네디 장관은 또 수백만명의 어린이들을 보호하고 미국인들의 건강을 지키는 글로벌 백신접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지원을 끊는다고 발표했고, 수백만명의 건강보험 수급 자격을 박탈하는 법안을 지지하고 있다고 기고자들은 지적했다.
기고자들은 "이런 모든 결정들이 미국의 보건 안보에 폭넓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치 성향과 무관하게 모든 미국인들이 이번 사태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한, 기고자들은 케네디 장관은 7월 31일 모나레즈 국장 취임 선서 때는 '흠잡을 곳 없는 과학적 경력을 가진 공공보건 전문가'라고 평가했다가, 몇 주 후 장관이 요구하는 백신 가이드라인의 승인을 거부하고, CDC 고위 공무원들을 해임하라는 요구 또한 듣지 않자 모나레즈 국장을 해임해 버렸다고도 지적했다.
성명서 성격의 이 기고문에 서명한 이들은 CDC 국장 또는 국장 직무대행을 지낸 이들로, 현재 민주당과 공화당을 막론하고 있어 더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지미 카터 행정부 이래 약 100여년에 이르는 모든 정권시절 인사들이 포함돼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