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서해안에서 번식하던 저어새, 순천만 갯벌 무인도에서 번식 첫 발견
순천만 저어새 번식지 첫 확인 망원 촬영 (사진 : 순천시)
국제 멸종위기종(IUCN 적색목록 VU)인 저어새가 순천만 별량면 일원 무인도에서 처음으로 번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24일 순천시(시장 노관규)에 따르면 시와 (재)한국의갯벌 세계유산등재 추진단이 2025년 '한국의 갯벌 물새류 정밀 번식 모니터링 용역' 과정에서 저어새가 순천만 별량면 일원 무인도에서 처음으로 번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매년 여름 순천만에서 약 30마리 가량 저어새가 꾸준히 관찰됐으나, 그동안 번식 여부를 입증할 만한 직접적인 증거는 확인되지 못했던 상황에서 나온 중요한 성과라고 순천시는 평가했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저어새는 순천시 별량면 무인도서에서 번식지 조성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망원경과 드론 조사 과정에서 둥지 위에 자리한 저어새의 모습이 직접 촬영된 것이다.
해당 무인도서는 곰솔·칡·누리장나무 등이 분포하고, 왜가리·중대백로 등 백로류와 민물가마우지가 집단 번식하는 자연성이 높은 섬으로서, 저어새가 번식지로 선택할 수 있는 적정한 서식환경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저어새는 1995년 전 세계 개체군이 약 400마리로 보고되는 등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알려졌으나, 국내외의 보전 활동이 이어지면서 현재 약 7,000개체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전 세계의 번식지 대부분이 서해안 무인도서에 집중된 가운데, 이 번에 전라남도 인근의 남해안에서 그 번식지가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순천만 저어새 번식지 첫 확인 망원 촬영 (사진 : 순천시)
추진단은 “순천만 인근 무인도서의 번식 시도는 회복 중인 저어새 개체군이 새로운 번식지로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평가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순천만에서 저어새가 매년 관찰되었지만 번식 여부는 미확인 상태였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순천만이 저어새의 주요 기착지이자 번식지로 기능하고 있음이 처음으로 입증된 만큼, 앞으로도 물새류 번식지 보호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강화해 보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제공 : 순천만보전과(061-749-2893)
▷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간략히 추가 기재합니다.
먼저, 국립생물자원관의 관련 정보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은데,
저어새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한반도 서해안의 무인도서와 인천 연안 등지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몸길이 약 74cm로 암수의 형태는 유사하다. 몸 전체가 흰색이며, 부리는 전체가 검은색으로 길고 끝이 주걱 모양이며, 다리는 검은색이다. 번식기에는 머리에 장식깃이 생긴다. 어린 새는 부리가 검은빛이 도는 살색이고, 날개 끝이 검은색이다.
번식기가 아닐 때는 강 하구, 양어장, 갯벌 등지에 서식하며, 번식기에는 서해안의 무인도 바위 지역에서 둥지를 틀고 번식하며 한 배 알은 4~6개 낳는다. 갯벌과 하구, 논 등의 얕은 습지에서 부리를 휘저으며 물고기나 새우류를 주로 잡아먹는다.
겨울철에는 주로 제주도와 서남해안의 습지와 하구에서 소수의 무리가 월동한다.
중국과 러시아에 각각 1개씩 있는 번식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번식을 하는데 특히 비무장지대 또는 인근의 무인도를 주요 번식지로 이용하며, 인천의 인공섬에서도 번식한다. 중국, 일본, 타이완, 홍콩 및 베트남에서 겨울을 난다.
◇ 현재 순천만 남해안에서 번식지가 처음 확인된 저어새 무리가 월동을 하기 위한 철새 활동으로 어느 지역으로 몇 개체가 어떤 양식으로 이동하게 될 지 등에 대한, 추적 관찰 기록 및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으로 보인다.
류임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