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완성도 검사' 통과…내년에 등재 여부 결정
한반도 선사 문화 사회의 한 "입증"으로 꼽히는 압권의 울산 반구천 일원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본격적인 심사 절차에 돌입한다.
문화재청은 올해 1월 제출한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가 세계유산센터의 완성도 검사를 통과했다고 5일 밝혔다.
완성도 검사는 신청서가 형식 요건을 만족했는지 살펴보는 과정이다.
세계유산의 등재 결정, 보존 상태 점검 등 세계유산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사무국인 세계유산센터가 맡아 진행하는데, 이 검사를 통과하면 본격적인 등재 심사 절차가 이뤄진다.
이에 따라 '반구천의 암각화'는 이달부터 심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완성도 검사를 통과한 등재 신청서는 그해 3월부터 다음 해 상반기까지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ICOMOS)의 서류심사, 현장실사, 종합 토론 심사 등을 받는다.
최종 등재 여부는 2025년 7월경에 열리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관계부처 등과 함께 협력하며 심사 과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유산 등재에 도전하는 '반구천의 암각화'는 현재 국보로 지정된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과거 '울주 천전리 각석')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한 유산이다.
1970년대 초 발견된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는 각종 도형과 글, 그림이 새겨진 암석이다.
신라 법흥왕(재위 514∼540) 시기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는 글자가 남아있어 6세기 무렵 신라 사회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대곡리 암각화는 'ㄱ'자 모양으로 꺾인 절벽 암반에 새긴 바위그림으로 잘 알려져 있다.
높이 약 4m, 너비 10m 크기의 바위 면에 선과 점을 이용해 다양한 동물과 사냥 장면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어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최고 걸작으로 여겨진다.
특히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 고래와 고래잡이 과정의 주요 단계를 새긴 부분은 세계적으로도 비슷한 사례를 찾기 어려워 문화·역사적 가치가 크다.
필자 류임현의 연구 용어 해설:
1. car; 현재 에스빠뇰어로는 돛대의 제일 두꺼운 아래 끝.
2. 꼬체; 현재 한반도 전래로는, 동사형 '꽂다' 연계어로 명사용례의 경우 휘ㄹ는 것도 가능한 꼬챙이 정도로 쓰인다.
에스빠뇰어 전래로는 coche 휠을 갖는 그야말로 현대 용어 car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까(카), 챠, 채, 등의 각 변용 전래.
또, 선사시대 초기 병용 의미로는 (꼬챙이 등으로 꿰어 주로 통째로 구워 먹는) 돼지 등으로 전래되는데, 더러운, 불결한, (돼지우리) 등의 뉘앙스를 그대로 갖는다.
유사 갈래 용어로는 현재 수채(체) 등이 있다.
도구와 대상이 같이 혼용되며 전래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로, 현재 에스빠뇰어로 "우리"는 1). 노소트로스(nosotros), 즉, 노소(뇰) + 들어오소, 트소, 트(뜨)르와 (3), 등이 결합된 것으로 추정되는 1인칭 복수형 외,
2). 새장, 우리는 가둘라와 가까운 가욜라(gayola), 현재 교도소 및, 포도밭감시 원두말 등으로도 공용된다.
3). 동물과 새 등의 우리는 하울라(jaula).
에스빠뇰어로 하(ja)는 비웃음이 담긴 용어로, 대체로 하마스(jamás) 결코, 지금까지 한번도, 등 부정어로 전래되어 쓰이고 있는 것으로, 하몬(jamón) 햄, 돼지 뒷다리 고기 등으로 전래되고 있다.
강하게 쯔 발음이 더해지면 잣, 잡, 등으로 발음될 수 있고, 강력한 부정의 mas와 같이 자마스, 자바스, 자몬, 잡은, 등으로 전개되는 원형을 추정 가능하다.
(바다 하, 해, 골, 등 전개 초기의 갈래는, 빠뜨리아 등과 같이 각 양가적 추정이 가능하다. 반구천 암각화는 북태평양 연안 해양어로에 관한 글로벌 중요문화유산이라는 사실을 강조기재해두며 관련 연구의 글들은 다른 기회로 미룬다.)
3. 가축의 우리, 사육장 및, 물고기의 양식장은 꼬랄(corral).
나트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마ㅇ, 꼬아ㄹ, 꼴, 넽, 등의 초기 전개어.
꼬라, 괴, 꿰 등 연계어.
4. 빠뜨리아(patria)는 여성형 명사로, 탄생지, 태어난 나라, 고향, 조국등을 의미.
참고로, 프랑스어로는 빠뜨리스(patrice) 즉, 남성형 명사화 되어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정체성을 인정 명명한,) 로마 황제에 대한 "귀족" 이라는 뜻으로 전래된다.
몇 참고 가능한 용어를 추가로 기재해 두자면 아래와 같고, "호모 까락떼루스"의 많은 어원들이 전래 혹은 거의 유사하게 쓰이고 있다.
1. 로ㅎ까(roca); 돌, 돌결, 바위 암석,
2. 알따(altar); 돌제단, 아궁이 밑 돌, 종교행사나 제례를 위한 돌이나 낮은 언덕등.
3. 삐에드라(piedra); 돌, 라이터돌, 풍차 맷돌. (현재 '비이드라'쯤부터 좀 더 관련 스펙트럼을 갖는 용어.)
4. 라스뜨레(lastre) (배 밑바닥이나 기구에 놓는) 돌, 모래, 물 혹은 무게가 나가는 다른 물건. 저울질을 위한 도구 개발과 직접 연계 있는 용어로도 추정. 나(라ㅎ)뚠다는 의미의 라스, 뜨라스, 재다 등과도 직접 연계어.
분별력, 판단력으로 전래.
5. 꼬브레(cobre); 동(銅), 구리, 동제품. (금관악기)
6. 에스떼(este) 동쪽. 이스트. cf) IS
7. 오리엔떼(oriente) 동(東), 동쪽, 동방. 근동 제국.
8. 루가(lugar) 도시, 지방, 읍면, 장소, (소읍)
9. 블로께(bloque) 자동차등의 실린더 블록. 다세대 주택의 동(棟), 블록.
관련 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2911918
세계유산 등재 추진 국보 반구대암각화, 관건은 '침수 방지책' - 믜디일보
세계유산 등재 추진 국보 반구대암각화, 관건은 '침수 방지책'사연댐 영향으로 큰비 오면 침수, 올해 장맛비로 10개월 만에 물 잠겨정부, 댐 수문 설치해 수위 조절 추진…등재 절차 맞춰 속도 내야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국보 제285호 반구대 암각화의 치명적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수몰 문제를 드디어 해결할 수 있을까.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한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 대상으로 선정됨에 따라 이런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유산급이라고 내세우는 이 위대한 문화유산은, 부끄럽게도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032113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또 진출 유산 등재 결정 참여...반구대암각화 지정 적극 추진 가능 - 믜디일보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또 진출…유산 등재 결정 참여2027년까지 활동…외교부 `세계유산 제도 발전에 기여할 것` 내년 결정 日 강제징용 사도광산 지정 심사과정서 한국 입장 적극 피력 전망. 내년 영문 신청서 제출 앞둔 반구대암각화 지정 적극 추진. 한국이 22일(현지시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심사하고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으로 선출됐다. 유네스코는 이날 열린 세계유산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세계유산위 신규 회원국을 선출했다. 아시아 지역 그룹 내 공석 중 1자리를 한국이 채운 것. 이에
http://sharimanzu.today
호모 까락떼루스 관련 참고가능 글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044387
국보 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30년 특별전 연기 휘두르다...희롱 펑황 여래 픠움하였다 - 믜디일보
국보 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30년 특별전 연기 휘두르다...희롱 펑황 여래 픠움하였다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30주년 맞아…`고대사 참모습 밝혀주는 증거` 부여박물관, 30주년 기념 전시 중…12일 발굴 주역 모여 고유제 국보 '백제 금동대향로' 세부 모습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윗 뚜껑의 최상단부에 관처럼 올려져 새겨져 있는 신물은 비치는, 뷔드리는 여의주를 가진 틀림없는 용(롱)이다. 혹자들은 향로 하단의 용과 구분하여 봉황(새)로 보기도 한다. 처음 발견 당시 명칭은 백제
http://sharimanzu.today
저작권자 ⓒ 믜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