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국해양대·부경대 교육·연구 역량 강화 지원은 정부 관학화의 강화?
HMM 이전 어떤 의미 있나?
X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부산에 있는 한국해양대학교와 국립부경대학교에 예정된 지원에 눈길이 쏠려 관심을 끌었다.
5일 부산시와 대학 등은 국가의 해양 정책을 주관하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되게 되면 해양수산 특성화 대학인 국립한국해양대와 국립부경대의 교육·연구 역량이 강화된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해수부 이전이 실현되면 두 국립대학은 해양수산 분야 실무 인력 양성, 산학연 협력 프로그램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 선순환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한국해양대는 최근 교육부가 주관하는 '글로컬대학30' 사업 예비 지정에 국립목포해양대와 연합한 초광역 통합 모델로 이름을 올렸는데, 해수부 이전이 확정되면서 오는 9월 예정된 본지정 선정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것이다.
한국해양대가 '글로컬대학30' 사업의 마지막 10개 대학에 포함되면 5년간 최대 1천억원의 지원을 받게 된다는 기대감이 커진 것.
X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국립부경대학교 제공]
부산 시내에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를 보유한 부경대는 해수부가 이전하면 산학연 사업 이외에 행정·연구 기능이 결합한 '융복합 캠퍼스'로 지금보다는 활용 가치가 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까지 부산으로 이전한 판국에는 중소 해운사와 해양수산 연구기관까지 부산에 집적되는데 '해양수도' 구상과 맞물리게 되면 한국해양대와 부경대의 연구·교육 기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주장인 것이다.
가덕도 신공항 공사 착공도 지지부진한 가운데 해수부부터 이전되면서 동해로 오징어, 명태 어군이 얼마나 언제나 돌아올 것인가 대한 민심의 향방만큼 촉각이 세워지는 것도 부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
대학 관계자는 "해수부가 이전하면 물리적 거리 감소로 지역 대학이 참여하는 산학연 협력 프로그램이 지금보다 확대될 것"이라며 "부산권 해양특성화 대학들이 해양수산 정책 컨트롤타워인 해수부 이전에 대비해 협력사업에 대한 구상을 미리 준비한다면 지역 교육과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차제에 더 나아가 가까운 일본등 국가 간에 자차를 싣고 출장 혹은 여행이 가능한 카 페리 등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기대감도 가능한 만큼, 번거로운 렌트 절차 등이 생략 가능하다면 상호간 가벼운 마음으로 자차 여행등도 쉽게 가능한 가운데 해양관광 산업의 숫적 양적 질적 성장 또한 다양히 기대해 볼 수도 있는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