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개방 기수역 형성...국제멸종위기종 실뱀장어 상류 회유등 확인

류임현 기자 승인 2024.06.09 00:40 의견 0

수 차례 재도입 실험 연어도 밀양 부근까지...보에 막혀 산란율 떨어져

X
낙동강 하굿둑

35년간 바닷물과 강물을 가로막았던 낙동강 하굿둑이 열리고 낙동강 생태계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8일 부산대 생명과학과 주기재 교수팀에 따르면 낙동강 하굿둑 개방 이후 뱀장어 등 특이종의 개체수와 길이가 변화한 것이 확인됐다.

주 교수팀은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와 공동으로 낙동강 하굿둑 개방 후 생태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 5년간 매월 낙동강 생태계를 조사해왔다.

주 교수팀과 협의회는 환경부 조사가 계절별로 진행돼 생태계 환경 변화를 추적하기에 연속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민간 조사팀을 꾸려 낙동강 생태계를 관찰하고 있다.

주 교수는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 형성 후 외래종의 분포 범위가 감소했고, 기수종의 분포 범위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하굿둑 상류에 생물 다양성이 많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주 교수는 특히 국제 멸종위기종인 실뱀장어(새끼 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에 주목했다.

대표적인 회유성 어종이자 경제적 가치가 높은 실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이 수문 개방 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 교수는 "하굿둑 수문을 특정 회유성 어종(실뱀장어)의 생활사에 맞추어 조절해 줄 수 있다면 해당 종의 이동성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어 어업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X
실뱀장어 방류 [연합뉴스 자료사진]

낙동강에 재도입 실험이 여러 차례 진행된 연어의 경우 현 조건에서 산란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 교수는 "연어가 상류로 올라가는 것까지는 확인되지만, 밀양 부근에서 보에 막혀 산란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주요 지천의 어류 이동 연결성이 확보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낙동강 하굿둑은 완공된 지 35년 만인 2022년 2월 열렸다.

10개의 수문 중 9번 수문을 음력 보름과 그믐 대조기에 하루 2~4시간 정도 연다. 대조기는 한 달에 두 번 바닷물 수위가 강물보다 높아지는 시기다.

열린 수문을 통해 강물보다 높은 수위의 바닷물이 낙동강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 기수역이 형성돼 생물 다양성이 높아졌다.

저작권자 ⓒ 믜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