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선출 당시의 50배…유력후보 10명 외 깜짝 선출 6%
차기 교황 선출 콘클라베 참석 추기경 선거인단 133명 전원 이탈리아 로마 도착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미사에 참석한 추기경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7일(현지시간) 차기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를 앞두고 도박업체에 걸린 금액이 최소 1천900만달러(264억원)라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5일 보도했다.
이는 폴리마켓, 칼시, 벳페어 등 3개 업체에 모인 판돈으로,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당시 금액(물가상승률 조정후)의 50배에 육박한다.
전 세계 가톨릭교회 수장을 뽑는 경건한 의식과 도박은 어울리지 않는 듯하지만, 교황 선출을 예측하는 베팅의 역사는 최소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503년 콘클라베에서도 로마 금융인들이 이를 주관했고, 1591년에는 그레고리오 14세 교황이 교황 선출을 놓고 돈을 거는 행위를 금지하는 칙령을 내릴 정도로 성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코노미스트가 추적, 분석한 3개 도박 사이트 베팅 추이에 따르면 5일 현재 피에트로 파롤린(이탈리아) 추기경이 선출될 가능성이 28%로 가장 높게 점쳐지고 있다.
필리핀의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추기경이 18%로 그다음으로 높고, 마테오 주피(이탈리아) 10%, 피터 턱슨(가나) 9%, 피에르 바티스타 피자발라(이탈리아) 9% 순이다.
이어 페테르 에르되(헝가리) 7%, 장 마르크 아벨린(프랑스) 3%, 로베르 사라(기니) 3%, 마리오 그레크(몰타) 2%, 프리돌린 암봉고(콩고민주공화국) 2%다.
이달 1일까지만 해도 파롤린 추기경과 타글레 추기경이 엎치락뒤치락 접전을 펼쳤으나 이후 격차가 벌어졌다. 또한 주피 추기경과 턱슨 추기경에 대한 예측은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이같은 상위 후보 10명 외에 전혀 다른 인물이 교황으로 깜짝 선출될 확률도 6%에 달했다.
이론적으로는 외부 접촉을 차단한 채 비밀 투표를 하는 콘클라베 기간에는 도박 업체의 예측치는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사람들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굴뚝에서 어떤 색 연기가 몇 차례 피어오르는지, 즉 투표의 횟수뿐이다.
2013년 콘클라베 2일째 되는 날 이탈리아 신문 라스탐파가 이전엔 유력 후보로 여겨지지 않았던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추기경(프란치스코 교황)이 선두권이라고 보도하는 등 비밀이 새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당시에 베팅 시장은 이같은 뉴스에 크게 동요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에는 판돈이 더 크기에 콘클라베 도중 차트에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면 (콘클라베가 벌어지는) 시스티나 성당 안팎에 입 가벼운 사람이 있다는 의심이 생겨날 것"이라고 관측했다.
X
취재진에 둘러싸인 한 추기경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차기 교황을 뽑는 콘클라베에 참석하는 추기경 선거인단 133명 전원이 이탈리아 로마에 도착했다고 교황청이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들은 오는 7일부터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서 3분의 2 이상, 즉 최소 89명의 지지를 얻는 후보가 나올 때까지 매일 투표를 반복한다. 콘클라베 투표는 첫날 한 차례, 다음 날부터는 오전과 오후 각각 두 차례씩 하루 네 번 진행된다.
이렇게 사흘 동안 투표에서도 교황이 뽑히지 않으면 추기경들은 하루 동안 투표를 중단하고 기도와 대화의 시간을 갖는다.
투표권이 있는 만 80세 미만 추기경 선거인단 135명 중 케냐의 존 은주에 추기경과 스페인의 안토니오 카니자레스 로베라 추기경 등 2명은 건강상의 이유로 불참했다.
추기경 선거인단 133명을 국적별로 보면 69개국이다. 이는 역사상 최다라고 AP 통신은 설명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된 2013년 콘클라베에는 48개국에서 온 추기경들이 시스티나 성당에 입장했다.
대륙별로는 여전히 유럽이 52명(39%)으로 가장 많지만 2013년 52%(115명 중 60명)였던 것과 비교하면 비중은 급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재위 12년 동안 추기경단의 지역 분포를 획기적으로 바꿔놨기 때문이다.
그는 가톨릭교회의 '변방'에서 추기경을 발탁하려 애썼고, 기존에 추기경을 배출하지 못한 나라와 분쟁·빈곤으로 고통받는 나라 출신을 과감히 임명하는 등 포용적으로 추기경단을 구성하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이번 콘클라베에는 아시아(23명), 중남미(21명), 아프리카(17명), 북아메리카(16명), 오세아니아(4명) 등 비유럽 출신 추기경이 81명으로 유럽 출신보다 29명 많다.
국가별로는 이탈리아가 17명으로 가장 많고 미국 10명, 브라질 7명, 프랑스 5명으로 뒤를 이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모국인 아르헨티나는 4명의 추기경이 투표권을 행사한다.
추기경 선거인단의 평균 연령은 70세 3개월이다. 선거인단 추기경에서 최연소 추기경은 45세의 호주계 우크라이나 출신 미콜라 비촉 추기경이고 가장 나이가 많은 추기경은 79세의 스페인 출신 카를로스 오소로 시에라 추기경이다.
콘클라베에 참여할 133명의 추기경 중 4분의 3을 훌쩍 넘는 108명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했다. 나머지는 전임자인 베네딕토 16세(20명)와 요한 바오로 2세(5명) 때 임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