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기술 신냉전'에 양자택일 압박" 우려도
오픈AI 최근 게시물 "중국 스타트업 즈푸AI도 동남아·중동·아프리카 지역 AI 인프라 구축 지원"
..."미국이나 유럽 경쟁업체보다 앞서 중국 시스템·표준으로 신흥시장을 가두려 한다" 견제
X
딥시크 [연합뉴스 자료사진]
딥시크·알리바바로 대표되는 중국 인공지능(AI) 업체들이 미국의 AI 기술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중 '기술 신냉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 유럽·중동·아프리카·아시아 등 각지에서 금융기관과 대학 등이 중국의 거대언어모델(LLM)을 택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은 내부적으로 딥시크 모델 테스트에 나섰고,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는 최근 주요 데이터센터에 딥시크 모델을 설치했다.
미국 정부가 보안 우려로 일부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앱 사용을 막았지만,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미국의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도 고객들에게 딥시크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 자료를 보면 미국 오픈AI의 챗GPT 다운로드 횟수는 9억1천만회로, 딥시크의 1억2천500만회를 여전히 앞서며 미국 업체들은 반도체, 연구 수준, 자금 동원력 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월 공개된 딥시크의 AI 모델 'R1'은 천문학적 규모의 자금을 쏟아붓는 미국 빅테크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비슷한 성능을 구현했고 오픈소스 방식을 택해 누구나 자유롭게 기본 코드 등을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미국은 군사적 전용 가능성 등을 이유로 중국 AI 업체들이 미국 반도체, 기술, 금융시장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 있지만 중국은 자체 AI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하버드대 연구진은 최근 논문을 통해 중국이 AI 관련 데이터와 인적 자본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중국 업계는 실생활에 AI를 적용하고 이용층을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X
딥시크와 챗GPT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부 AI 업계 관계자들은 미중 경쟁으로 세계가 기술 신냉전을 향해 가고 있다면서 각국이 미국 또는 중국 AI 시스템 가운데 어디에 보조를 맞출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봤다.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MS) 사장은 지난 5월 미 상원 청문회에서 "AI 경쟁에서 승리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전 세계에서 어떤 기술이 더 널리 채택되는지 여부"라며 "화웨이와 5G에서 우리가 배운 교훈은 먼저 자리를 차지한 자는 쉽게 대체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민주적 AI가 권위주의적 AI를 확실히 이기도록 하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오픈AI는 최근 게시물을 통해 중국 스타트업 즈푸AI가 동남아·중동·아프리카 지역의 AI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미국이나 유럽 경쟁업체보다 앞서 중국 시스템·표준으로 신흥시장을 가두려 한다"고 견제하기도 했다.
장기적으로는 미중 간 대결 구도로 전 세계가 군사적·사회적 AI 위협에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반도체 업체들은 미국의 대중국 수출 통제로 실적에 타격을 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칩 H20의 중국 수출도 제한했는데, 투자은행 제프리스는 이에 따른 매출 타격을 100억 달러(약 13조6천억원)로 추정했다.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24446
올게 온? 中 AI 딥시크 챗봇 충격에 뉴욕증시 급락 출발…나스닥 개장 초 3%↓ 엔비디아 장중 12%↓ - 믜디일보
엔비디아 장중 12%↓…메타·구글·MS 등 'AI 선도' 빅테크 급락세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으로 미국 챗GPT에 필적하는 경쟁력 있는 챗봇 서비스를 출시했다는 소식에 2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빅테크(대형 기술기업) 종목들이 급락세로 출발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개장 직후인 오전 9시 33분(미 동부시간) 기준 전 거래일보다 609.26포인트(-3.05%) 급락한 19,345.04에 거래됐다. 스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24627
딥시크 딥쇼크 엔비디아 H시리즈 몇 년 남았다?…머스크 모어 댄(more than)으로 기우는 듯 - 믜디일보
中 AI 데이터 기업 CEO 알렉산더 왕, 딥시크 저비용 AI에 회의론...`엔비디아 첨단칩 대량 보유 추정 온라인서 설왕설래…미 수출통제 우회해 구입했을 가능성도 제기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내놓은 인공지능(AI) 모델이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킨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저렴한 칩을 이용해 개발했다는 딥시크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머스크는 27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서 딥시크가 표면적으로 밝힌 것보다 엔비디아의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26546
이른 설 연휴로 일단 멈칫 '수출플러스'…트럼프 관세·'딥시크 쇼크' 우려등 극적인 타개책 다른 모색 필요할 듯 - 믜디일보
1월 수출 감소는 '이른 설' 따른 일시 현상 분석…2월엔 증가 전환 가능성 커`딥시크 충격, 한국 반도체 업계엔 장기적으로 호재` 트럼프 중·멕시코 관세…한국 반사이익 기대·우회수출 타격 우려 공존 뭘 사주고 뭘 파나?...극적인 다른 타개책 다른 시나리오에 다른 모색들 관망 새해 첫 달인 1월 한국의 수출이 15개월 동안 이어오던 전년 동월 대비 '수출 플러스' 흐름을 멈추고 일단 감소세로 돌아섰다. 외견상 수출 동력이 꺾인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올 수 있는 상황이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26937
딥시크 출현에 '중국산 HBM' 성장 탄력?…복잡해진 韓 기업 셈법 장·단기 관점 차이 지적 - 믜디일보
美 제재, 중국 자립화 부추겨…`CXMT, 엔비디아 공급 가능성도`젠슨 황 CEO, '방중' 후 트럼프 회동…삼성 `위험·기회 공존` 복잡해진 韓 기업 셈법 장·단기 관점 차이 지적 ... 사실상 더 예의 주시 요주의 요구돼 경제를 뛰어넘는 정치 AI 세계 열어놓을 셀(?) 게이트 스크류(gate screw) 돌아가는 소리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인공지능(AI) 모델의 등장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확대 등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가 더욱 강력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29478
오픈AI 올트먼, 딥시크 추격에 한국등 주도권다지기 '광폭행보'…미국 내 구글, MS 최대 경쟁상대 표준전쟁의 서막 - 믜디일보
한국·일본·인도 돌며 아시아권 동맹 구축 나서韓 반도체·IT 리더들과 잇달아 면담하고 카카오와 제휴…정부는 '패싱' 카카오·오픈AI 제휴 파트너십 발표…정신아 `국내 AI 서비스 대중화에 가교` SK그룹 회장 회동뒤 오픈AI HBM 공급·AI 데이터센터 건설 등 전방위 협력 논의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3자회동 ...`스타게이트에 기여할 한국 기업 많다` 부상중 인도 방문 예정 `폐쇄형 AI와 오픈소스 AI 간 '글로벌 표준 전쟁'의 서막`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646277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 투자행사 몰려간 실리콘밸리 거물들…AI사업 글로벌 향방 시계 모래바람 속으로 - 믜디일보
트럼프 1기 때 사우디의 언론인 살해 반발해 보이콧한 것과 딴판석유일변도 탈피해 산업 다각화하려는 사우디 이해와도 일치? 미국-사우디 투자포럼 참석한 트럼프와 미측 인사들 [리야드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한 13일(현지시간) 현지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는 실리콘밸리 거물들이 대거 자리해 중동 자본을 향한 미국 빅테크들의 구애를 보여줬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677379
AMD, 차세대 AI칩 '인스팅트 MI400' 공개…오픈AI CEO 깜짝 등장 `사용 예정` - 믜디일보
개발자 콘퍼런스 '어드밴싱 AI' 개최…`엔비디아보다 전력 소모·비용↓`'헬리오스(Helios)' 신규 랙 시스템 공개 ...`테슬라·메타·MS 등도 채택` 삼성전자 HBM3E 12단 탑재 공식 확인...엔비디아 퀄(품질) 테스트중 제품 인공지능(AI) 칩 선두 엔비디아의 대항마 AMD가 12일(현지시간) 차세대 AI 칩을 공개하며 엔비디아와 경쟁을 이어갔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도 등장해 이 칩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0105
라데온 일본 시장 45% 돌파 AMD CEO, 中 방문 `딥시크ㆍ알리바바 등 호환성·지원` 강조…`중국 기술 발전에 기여` - 믜디일보
AMD 일본서 그래픽카드 라데온 점유율 45% 돌파AMD 리사 수 CEO, 중국 방문 인공지능모델 딥시크와 알리바바의 큐웬 시리즈 언급 ...호환성 강조 17일(현지시간) 하드웨어등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AMD가 일본에서 열린 제품 공개 행사에서 최신 라데온 시리즈 그래픽카드가 일본 내 시장점유율 45%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경쟁사 엔비디아(NVDA)가 공급망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뤄진 성과지만 흔히 않은 판매 증가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AMD는 현재 일본 시장내
http://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