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트로이 유적지에서 4천500년 전에 만들어진 금장신구 및 옥석 등이 발굴됐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튀르키예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트로이 유적지에서 4천500년 전에 만들어진 금장신구 및 옥석 등이 발굴됐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튀르키예 문화관광부에 따르면 최근 튀르키예 북서부 차나칼레 지역에 있는 '트로이Ⅱ' 도시층 유적에서 덩굴 고리가 말린 모양의 금 장신구, 청동 핀, 옥돌 등이 출토됐다.
금장신구는 초기 청동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2천500년경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 발표됐다.
약 160년간 계속 된 트로이 발굴 과정에서, 앞 서 트로이Ⅱ 유적지는 기원전 2천300∼2천200년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돼 왔으나 이번 발굴로 추정 연대가 앞당겨졌다는 설명이다.
메흐메트 누리 에르소이 튀르키예 문화관광장관은 이 금 장신구(브로치 추정)가 전세계적으로 3개만 발견된 유형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며, 지난 100년간 발견된 것들 중 가장 중요한 트로이 유물에 속한다고 덧붙였다.
에르소이 장관은 이번에 발견된 유물들을 트로이박물관에 전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사실상 옥석의 경우 더 앞 서부터 중요한 장신구의 소재는 물론 저울의 추로도 사용되는 등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 번에 트로이 유적지에서 발굴된 금 세공품은 그 독특한 문양으로 관심이 쏠리지 않을 수 없다.
; 믜디일보의 필자(류임현)는 튀르키예 유물 등에 대하여도 필자의 이론에도 대조하며 지속적으로 연구의 항목으로 두고 있었던 바, 이 번 발표는 극히 간단한 부분이나마 그 독특한 문양의 유물과 필자의 연구 부분을 대조하여 밝힐 수 있는 천운으로도 보인다.
튀르키예어로 현재 고사리는 fujer[푸세], Eğrelti Otu 등으로 불리고 있다.
덩굴식물, 포도덩굴, 포도나무 등은 asma[아스마]로 불린다. 포도(葡萄)는 Asmanın[아스마니ㄴ], Üzüm[우줌]으로 불린다.
게다가, 식물의 줄기, 덩굴, 과일의 꼭지, 연장의 자루, 손잡이, 곡식의 다발, 묶음은 sap[샆, 삽]으로 불리고 있다.
또, 튀르키예에서 '고리'라는 말로 전래되고 있는 용어는 꽤 다양한 편인데, askı[아스키], halka[할(홀)카], kangal[칸갈], çengel[ㅊ센겔], kasnak[카스낰] 등이 그것이다.
바퀴나 원형이라는 뜻으로는 과자 이름처럼 들리는 çember[ㅊ셈베]라는 단어도 있다.
그런데 사실상 더 앞 서 과자, 빵으로는, 그야말로 또아리, 똬리를 뜻하는 Çörek[ㅊ세레ㅋ]도 오스만 투르크어와 같이 유래한 튀르키예 말이다. 현재 이탈리아어 등지의 고리, 반지를 뜻하는 [세르끼오]와도 유사하지만, 현재 그리스, 아르메니아, 튀르키예 등지에서 부활절에 주로 먹는 추레키의 어원이다.
즉, 그리스어 "추레키(τσουρέκι)"의 어원은 튀르키예어의 (뱀 등) 또아리 "çörek[최레크, ㅊ세레ㅋ]"로, 이는 다시 "둥근 빵"을 뜻하는 오스만 튀르키예어 "최레크(چورك)"과 같이 유래되었다.
고리 모양의 빵인 "쿨루리(κουλούρι)"의 이름도 이것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재 한국의 전통과자 타래과보다는 좀 더 큰 "꽈배기" 빵과도 비슷하다.
첨언하자면, 약 1억 3,000만년 전 경상북도 칠곡 금무봉 근방에서 번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고사리 화석산지의 나무고사리는, 현재 일본 서남쪽, 대만, 중국의 남쪽, 하와이 등지 등 열대기후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군과 대조할 만한데, 그러나 그 줄기가 다른 특징이 구분되고 있다.
식물진화·분포 등 생물학적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고 자연사 자료로서의 가치도 매우 커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데, 줄기 외 그 잎의 경우 뉴질랜 등지의 나무고사리의 잎 (새 잎은 코루 혹은 쿠퍼 등으로 지) 등과도 대조하여 이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나무고사리의 코루 혹은 쿠퍼는 사실상 튀르키예 ㅊ사탈 휘육(Çatal-höyük) 유적지로 명명되고 있는 신석기 유적지 차탈(Çatal)의 모양이 연상될 만큼 비슷하다.
çatal[ㅊ사탈]
1.포크 2.쇠스랑, 삼지창(三指創) 3. 세 갈래로 나뉘어진 등.
중생대 공룡과 같이 거대한 식물군으로 번성했던 고사리속 양치류의 총칭인 고사리(Bracken)는, 현재는 현대의 기후 환경 조건에 맞게 대부분 초소형화 하며 존속되고 있다. 양지나 음지에서 모두 잘 적응하고 환경조건이 나쁜 곳에서도 잘 생육하지만 토양이 오염된 곳에서는 생육하지 못한다.
한국의 경우 가늘고 작게 자라며, 잎의 어린 순은 뜯어다 나물로 제사상에 올려 왔다.
참고로, 아래의 단어들을 첨부 기재해 둔다.
골;아크바바; 할카;센겔;아스키;칸갈;셈베; 도네;돌람;바키;디비; 사바;튠;벰;악삼; 아스마-니;우줌;우술; 수;ㄹ;솔; 따; 탑;땁판; 떼페ㄹ; 곰무드;메자; 까라;예; 아구지;지라;꾸슬라;푸 뚜막; 뚜스; 따르스; 슐(솔)라만;
떼펠-레-멕-
챠탈; 뷔육;우ㄹ러;알리;ㅁ; 하라비예; 아그; 바싹; 타흐ㄹ;싸부ㄹ;타네; 슈ㅌ;카이막; 까ㄹ데; 타바까;무사바까; 바깐(칸); 아지ㅈ스; 아ㅎ바바;에비ㅎ리야;에르미;벨리
캼, 카마.
부루쿨
샤지
야- 뎉
끗; 골; 산,상;비따ㄹ레; 튜;다; 넵튠;티아,터; 꼴; 피힘;빨피따;쵸로; 아리안; 뽈리s; 바르께; 두바;오르그;까지k;꼴론;슈ㅓ튠; 베아또;-떼; 아수ㄹ;후즈; 파르스;파라;타; 파묵깔레
▷ 트로이(히타이트어: 𒆳𒌷𒋫𒊒𒄿𒊭/Taruiša; 고대 그리스어: Τροία; 라틴어: Troia) 또는 일리온(히타이트어: 𒌷𒃾𒇻𒊭; 고대 그리스어: Ἴλιον)은 현재 튀르키예의 히사를리크에 위치한 고대 도시.
이 도시는 트로이 전쟁의 그리스 신화 배경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1998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추가되었다.
트로이는 약 4000년 동안 반복적으로 파괴되고 재건되었고, 그 결과 유적지는 9개의 고고학적 층으로 나뉘어 있다. 각 층은 이전 유적지 위에 건설된 도시에 해당한다. 고고학자들은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이 층을 트로이 I을 가장 초기부터, 트로이 IX가 최신이다.
트로이는 기원전 3600년경에 처음 정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기원전 3000년경 트로이 I에서 작은 요새 도시로 성장했다. 초기 층 중에서 트로이 2세는 부를 자랑하는 기둥 건축물 등으로 유명하다.
후기 청동기 시대에 트로이는 윌루사라고 불렸고 히타이트 제국의 속국이었다. 마지막 층(트로이 VIII–IX)은 고대 그리스 및 고대 로마 도시였다.
경상북도 칠곡 금무봉 근방에서 번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고사리 화석.
경상북도 칠곡 금무봉 근방에서 번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고사리 화석.
경상북도 칠곡 금무봉 근방에서 번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고사리 화석.
튀르키예 히에라 폴리스 유적지.
히에라폴리스 유적은 튀르키예 파묵칼레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190년경 페르가몬 왕조의 에오메네스 2세에 의해 건설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 번영한 ‘성스러운 도시’
가락국 가-야 토기.
가야토기는 공간적으로는 가야산 이남의 낙동강 서쪽 지역에서 호남 동부 지역까지 주로 출토되며, 시간적으로는 현재 대체로 3세기 중엽 이후 562년 대가야가 멸망하는 시기까지 제작된 토기를 가리킨다.
음양 오행
음양오행은 우주와 만물의 생성, 변화, 소멸을 설명하는 사상 체계로, 음(陰)과 양(陽)의 상대적 원리와 오행(五行)의 상생·상극 관계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이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링크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408979
믜디의 여행소개! '허세' 튀르키예옹 문화관광부, 신석기 학술대회 개최···약 1만년 전후 옹들의 현 주장 점검기회 - 믜디일보
약 1만년 전후 유적이 신석기 최초 지역이면 좋겠다고(?)...타스ㅣ 테펠러(Taş Tepeler) 프로젝트 진행 12지 타스ㅣ 테펠러 유적지 여전히 발굴중 ...다만 약 1만5천년전 `청주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볍씨` 발굴도 자꾸 깜빡하는 옹들의 혼란진행 '허세' 튀르키예옹의 문화관광부는 신석기 시대의 가장 오래된 유적지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괴베클리테페 등이 있는 튀르키예 남동부 `샨리우르파(şanliurfa)`에서 다음달 4일부터 8일까지 제1회 세계 신석기 학술대회를 연다고 17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2967166#
김해시, 초룸시 교류재개에 거는 또 다른 기대...아스카 아나아스의 히타이트와 고리문명 - 믜디일보
김해시, 초룸시 교류재개에 거는 또 다른 기대...아스카 아나아스의 히타이트와 고리`짝`문명들.김해시 가야· 히타이트 철기 특별전 추진...가덕도 장항 유적과의 대조 연구 활성화 촉구 가능성. 초룸 박물관 왼쪽은 청동검 오른쪽은 무게에 따라 달리 사용한 저울돌이라고 한다. 초룸 박물관(히타이트 유적). 동해 연안 바위 암각화에 새겨진 돌칼과 한반도 석검과 거의 흡사하며, 단박에 가덕도 장항유적에서 발굴된 약 7천년 이전 유물로 추정되는 옥돌과 흑요석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히타이트 유적 매장지 및 발굴 초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781593
독자적인 표현, 독창적 아이디어, 독자적인 사상, 등 그리고 시사보도, 저작권법에서는? (편집 누락피싱 발견 정정1본) - 믜디일보
샤리만수 LLC. 연구법인 더 쉽게 더 많이 그보다 더 ...독자적인 표현, 독창적 아이디어, 독자적인 사상, 등 그리고 시사보도, 저작권법에서는? (관련판례 또한 소개.) ▷18:40 초 경 (중요) 영상부분이 편집 과정에 이유없이 누락된 것을 발견하였고, 첨부한 정정영상을 따로 게재하였습니다. ; 음성 중 말 작업은 따로 없는 부분으로 급히 정상화는 가능하였습니다.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358743#
인류 철기문명의 열매 도시 '히타이트 유물' 김해 온다…국내 첫 공개 - 믜디일보
6일 국빈급으로 도착, 10월 8일 국립김해박물관서 특별전 개막국제우호도시 김해시-튀르키예 초룸시, 지방정부 외교 '결실' 현재 인류 최초 철기 문명지로 학계 이론화 (...다른 이론의 본 지 필자의 연구 `인류 철기문명 열매로 핀 도시 히타이트` 야마 불구덩이는 죽어야 가는 돌아오는 천지(턴-띠) 염라의 세 번째 하늘 탄꾸이 아오투·뇨철의 다르마르가 서쪽으로 간 까닭들 그림 그들과도 또 다른 '투ㅣ'들. 추후 다른 특집으로 게재 계획) 한반도 철기문화를 꽃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198395
하투샤 그 가까이 퀼테페! 3천900년 전 무역의 중심국과 설형문자…한국-튀르키예 공동 조사·연구 - 믜디일보
문화재청, 튀르키예 문화관광부와 MOU…내년부터 5년간 발굴·연구 나서 약 3천900년 전 동·서양을 잇던 무역 중심지의 흔적이 남아있는 현재 튀르키예의 주요 유적 발굴 조사에 한국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문화재청은 튀르키예 수도인 앙카라에서 튀르키예 문화관광부와 문화유산 분야에서 교류·협력하자는 내용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두 기관은 앞으로 양국의 문화유산 보호 및 보존, 복원을 위해 힘을 모을 계획이다. 이번 협약과 함께 문화재청 산하 국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529472
튀르키예 특별전 '히타이트' 연 국립김해박물관 역대 최다 관람···놓친 분들을 위한 2차 전시 예고 - 믜디일보
튀르키예 특별전 '히타이트' 연 국립김해박물관 역대 최다 관람4개월간 3만7천명 찾아…김해시-초룸시, 인류 최초 철기문명 국내 첫선 국립김해박물관은 지난해 10월 8일부터 지난 2일까지 4개월간 연 튀르키예 특별전 '히타이트'에 관람객 3만7천340명이 찾아 1998년 박물관 개관 이후 최다 관람객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국내 처음으로 선보인 '히타이트' 특별전은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주년을 기념해 김해시와 국립김해박물관, 튀르키예 초룸시, 튀르키
https://sharimanzu.today
류임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