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 타워 4·6호기 해체 사전 작업에 구조인력 안전 고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 시신수습 3명외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 아직 매몰 상태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본부장 : 고용노동부, 기후에너지환경부)
...제2차 회의 직후부터 소방청 안전구조 활동 전개 기술지원
생존 상태 구조 기다리다 끝내 숨진 매몰자 김씨(44) 시신 수습
철재에 팔 낀 채 사고 1시간여 만에 발견…의식 뚜렷했지만 이튿날 결국 사망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제5호가 붕괴된 6일 오후 2시께 사고 순간의 영상이 공개되었다.
HJ중공업이 발주 계약을 따냈고 발파 전문업체 '코리아카코'가 하청 투입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의 붕괴사고로 5호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있다.
사고 나흘째이자 수색 중단 이튿날인 9일 현재는 구조 당국 소방 관계자들이 현장에서는 물러난 상태로, 붕괴 현장에는 드론이 투입되었다.
정부는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 옆에 있는 붕괴 위험의 4호기와 6호기를 먼저 발파해 해체하는 취약화 방법으로 매몰자 수색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75% 수준에 있는 6호기의 취약화 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
소방당국 보도자료에 따르면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인력을 투입하는 수색·구조 작업은 다시 중단됐다.
김정식 울산소방본부 예방안전과장은 9일 낮 12시 30분 현장 브리핑에서 "업체에서 (보일러 타워 6호기) 취약화 작업을 시작하는데 따라 직접 수색 작업은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무인기(드론)로 카메라 수색은 계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구조 인력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취약화 작업은 대형 구조물 철거 시 한 번에 쉽게 무너질 수 있도록 기둥과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잘라놓는 것이다. 사실상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현재 앞 서 취약화 과정에서 메뉴얼에 따르지 않는 절차상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제기되고 있어 중단된 구조 및 조사 작업 재개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정부는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 옆에 있는 붕괴 위험의 4호기와 6호기를 먼저 발파해 해체하는 취약화 방법으로 매몰자 수색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75% 수준에 있는 6호기의 취약화 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
"수색 재개는 언제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이자 수색 중단 이튿날인 9일 현재는 구조 당국 소방 관계자들이 현장에서는 물러나 있는 상태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추가 사망 판정된 김씨(44)를 포함 3명 사망 시신이 수습되었고, 2명 사망 추정, 2명이 실종 상태로 아직 매몰돼 있다. 2025.11.9
소방 당국은 취약화 작업 착수 전인 이날 오전 8시 10분 드론에 이어 오전 10시 30분 구조대원 17명을 매몰 현장에 투입해 지난 7일 숨진 김모(44)씨의 시신을 수습했다.
사고가 발생한 지 사흘 만이고, 김씨가 사망 판정을 받은 지 약 54시간 만이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보일러 타워가 무너질 때 매몰됐으며, 약 1시간 20분 만에 구조물이 팔이 낀 채로 구조대원들에게 발견됐다.
그러나 구조대원들은 2차 붕괴의 위험과 붕괴하면서 빽빽하게 얽혀버린 철재 구조물등 장애물 때문에 김씨에게 곧장 다가가지 못했다.
당시 김씨는 대원들과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의식이 또렷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스스로 호흡 곤란을 호소했고, 구조대는 사람의 접근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김씨에게 진통제를 제공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소방당국이 "곧 구조가 가능할 듯하다"는 기대를 드러낼 정도로 진전이 있었지만, 구조는 쉽지 않았다.
결국 7일 오전 4시께 김씨의 움직임이 갑자기 멈췄다.
장애물을 치워가며 조금씩 가까스로 다가가고 있던 구조대는 미처 팔이 다 빠지지 않은 김씨를 상대로 심폐소생술을 했지만, 김씨는 끝내 의식을 차리지 못했다. 현장에서 의료지원을 하던 의사가 53분 뒤에 사망 판정을 내렸다.
이로써 이번 사고로 매몰된 총 7명 가운데 사망자 3명의 시신이 수습되었고, 사고 현장에는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김 과장은 "현재 취약화 작업을 위해 대원들이나 장비는 다 빠진 상태로 현장에는 취약화에 필요한 인력만 들어가 있다"고 밝혔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앞 서 7일 울산 남구 화력발전소 붕괴 매몰사고 현장에 방문했다.
현재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에 대하여는 고용노동부, 기후에너지환경부를 공동본부장으로 중앙사고 수습본부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6일 14시 02분경 울산 남구 화력발전소 내부 구조물 해체작업 중 구조물이 전도 붕괴되면서 발생한 이 번 사고에 대하여는, 현재 고용노동부, 기후에너지환경부를 공동본부장으로 한 중앙사고 수습본부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15조의2 (중앙 및 지역사고수습본부) 등에 의거하여 구성된 이 번 해당사고의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제2차 회의 직후부터 소방청의 안전구조 활동 전개에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7일 (금) 7:00 사고수습상황실 (안전보건공단 울산지역본부)에서 행정안전부, 소방청, 경찰청, 울산광역시 및 남구청, 더불어민주당 김태선·김상욱 의원 등 관계기관 등이 참석한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본부장 : 고용노동부, 기후에너지환경부)> 제 2차 회의가 개최되었다.
제2차 회의에서는 지난 밤 구조상황을 점검하고, 먼저 조속한 매몰자 구조를 위한 2일차 구조작업 방향과 각 기관별 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 번 붕괴 매몰 사고로 숨진 노동자에 대하여 깊은 애도를 표하고 위로의 마음과 같이, 지방정부에서 가족분들에 대한 지원에 만전을 기하고, 복지부와 안전보건공단은 트라우마 센터의 운영을 통해 부상자 및 사고 목격자들에 대한 심리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치해 줄 것을 당부했다.
논의 과정에서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발전소 건설·해체 등 유사 현장에 대해서도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석한 윤호중 행정안전부장관 등은 7일 울산 남구 화력발전소 작업자 매몰사고 현장을 찾아 인명구조 상황을 살피고, 안타까운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분들의 명복을 빌며 깊은 애도의 뜻을 표했다.
윤호중 장관 등은 현장 관계자에게 수색과 구조에 최선을 다하되, 구조 과정에서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에도 각별히 유의해 줄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피해자별 1:1 전담공무원 배치, 재난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설치 등 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에 만전을 기할 것을 지방정부에 당부했다.
이 번 사고의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현재 소방과 고용노동부,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관계기관이 긴밀히 협조하며 구조활동을 진행하고 있다고 게재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 약칭: 재난안전법)
제15조의2(중앙 및 지역사고수습본부) ①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은 재난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재난상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난을 수습하기 위한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수습본부”라 한다)를 신속하게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 <개정 2023. 12. 26.>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 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에게 수습본부의 설치ㆍ운영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요청에 따라야 한다. <신설 2023. 12. 26.>
③ 수습본부의 장(이하 “수습본부장”이라 한다)은 해당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이 된다. <개정 2023. 12. 26.>
④ 수습본부장은 재난정보의 수집ㆍ전파, 상황관리, 재난발생 시 초동조치 및 지휘 등을 위한 수습본부상황실을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18조제3항에 따른 재난안전상황실과 인력, 장비, 시설 등을 통합ㆍ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23. 12. 26.>
⑤ 수습본부장은 재난을 수습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관계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에게 행정상 및 재정상의 조치, 소속 직원의 파견, 그 밖에 필요한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관계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요청에 따라야 한다. <개정 2023. 12. 26.>
⑥ 수습본부장은 지역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할 수 있으며, 지역사고수습본부의 장(이하 “지역사고수습본부장”이라 한다)은 수습본부장이 지명한다. <신설 2014. 12. 30., 2023. 12. 26.>
⑦ 수습본부장은 해당 재난의 수습에 필요한 범위에서 시ㆍ도지사 및 시장ㆍ군수ㆍ구청장(제16조제1항에 따른 시ㆍ도대책본부 및 시ㆍ군ㆍ구대책본부가 운영되는 경우에는 해당 본부장을 말한다)을 지휘할 수 있다. <개정 2014. 12. 30., 2023. 12. 26.>
⑧ 수습본부장은 재난을 수습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14조의2제1항에 따른 수습지원단을 구성ㆍ운영할 것을 중앙대책본부장에게 요청할 수 있다. <개정 2014. 12. 30., 2023. 12. 26.>
⑨ 수습본부의 구성ㆍ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6조(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① 해당 관할 구역에서 재난의 수습 등에 관한 사항을 총괄ㆍ조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시ㆍ도지사는 시ㆍ도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시ㆍ도대책본부”라 한다)를 두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시ㆍ군ㆍ구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시ㆍ군ㆍ구대책본부”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13. 8. 6., 2014. 12. 30.>
② 시ㆍ도대책본부 또는 시ㆍ군ㆍ구대책본부(이하 “지역대책본부”라 한다)의 본부장(이하 “지역대책본부장”이라 한다)은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되며, 지역대책본부장은 지역대책본부의 업무를 총괄하고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개정 2013. 8. 6., 2014. 12. 30.>
③ 시ㆍ군ㆍ구대책본부의 장은 재난현장의 총괄ㆍ조정 및 지원을 위하여 재난현장 통합지원본부(이하 “통합지원본부”라 한다)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지원본부의 장은 긴급구조에 대해서는 제52조에 따른 시ㆍ군ㆍ구긴급구조통제단장의 현장지휘에 협력하여야 한다. <신설 2013. 8. 6., 2014. 12. 30.>
④ 통합지원본부의 장은 관할 시ㆍ군ㆍ구의 부단체장이 되며, 실무반을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14. 12. 30.>
⑤ 지역대책본부 및 통합지원본부의 구성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제18조(재난안전상황실) ① 행정안전부장관, 시ㆍ도지사 및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재난정보의 수집ㆍ전파, 상황관리, 재난발생 시 초동조치 및 지휘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상시 재난안전상황실을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 <개정 2014. 11. 19., 2017. 7. 26.>
1. 행정안전부장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2. 시ㆍ도지사 및 시장ㆍ군수ㆍ구청장: 시ㆍ도별 및 시ㆍ군ㆍ구별 재난안전상황실
② 삭제 <2014. 12. 30.>
③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소관 업무분야의 재난상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재난안전상황실을 설치ㆍ운영하거나 재난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④ 제3조제5호나목에 따른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은 재난에 관한 상황관리를 위하여 재난안전상황실을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⑤ 제1항제2호, 제3항 및 제4항에 따른 재난안전상황실은 제1항제1호에 따른 중앙재난안전상황실 및 다른 기관의 재난안전상황실과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유지하고, 재난관리정보를 공유하여야 한다.
관련기사 링크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845974
아이고 아베요!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재 명명박박한(?) 사고 원인 불명 - 믜디일보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HJ중공업 발주계약에 발파 전문업체 '코리아카코' 하청 투입 확인 ···사고로 매몰 9명중 5명 사망 2명 실종 2명 부상 현재 명명박박(?)한 사고 원인 불명 상태 2025년 11월 6일 울산광역시 남구 한국동서발전 산하 울산화력발전소에서 가동이 중지된 기력발전 5호기 보일러탑 발파 해체를 위한 일부 기둥 잘라내는 과정에서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작업자들은 당시 보일러
https://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