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조직개편 발표… HBM개발팀 D램개발실 아래로 빽
IBM 최초 특허 D램, Samsung, Hynix, Qimonda 및 Micron 등 라인센스
...중국 VS. 미국 3D D램 국제 특허수 경쟁, 중국이 미국을 앞 지른 상황
3D D램 삼성, 마이크론 이어 특허 최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바싹 추격 미국과 시장 각축
...3D D램 SK 하이닉스보다 특허 앞 서 HBM4등 차세대 경쟁력 회복에도 자신감 내보여
삼성전자가 지난해 신설했던 고대역폭메모리(HBM)개발팀을 해체하고 D램 개발실 산하로 재편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반도체 원조' 삼성전자의 HBM4 실물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와 HBM3E 실물이 전시돼있다. 2025.10.22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임원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고 조직개편을 발표했다는 것이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에서는 HBM개발팀이 사라지고 관련 인력이 D램개발실 산하 설계팀 조직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에 HBM개발팀을 이끌던 손영수 부사장이 설계팀장으로 선임됐다.
HBM개발팀 인력들은 그 설계팀의 산하에서 HBM4, HBM4E 등 차세대 HBM 제품 및 기술 개발을 이어갈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7월 조직개편을 통해 HBM개발팀을 신설했다. 같은 해 5월 전영현 부회장이 DS부문장으로 선임된 뒤 약 한 달 만에 이뤄진 다소 뜻 밖의 개편이었다.
당시 삼성전자는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빼앗겨 왔었고, 이에 HBM 전담 조직을 만들어서 관련 인력을 한데 모아 기술 경쟁력 강화의 방법으로 삼는다는 행보로 보였다.
그런데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1년여 만에 D램개발실 산하 설계팀 소속으로 HBM 관련 인력을 배치시킨 것이다.
3D D램 기술관련 주요시장 확보율.
마이크론 테클놀로지 및 어플라이드 머티리얼 모두 미국 기업이다.
업계에서는 몇 가지 분석 가운데 대체로 삼성이 HBM4 등 차세대 HBM 제품에서도 상당 부분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자신감으로 풀이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엔비디아, AMD, 오픈AI, 브로드컴 등 굵직한 빅테크들과 HBM 분야에서도 공고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성과를 냈다는 자신감이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삼성이 내년부터 HBM의 시장 점유율을 얼마나 확대 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HBM 시장에서는 3위로 밀려났지만, 내년에는 HBM4 공급 확대를 기반으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이 일견 없을 수는 없다. 다만 엔비디아가 앞 서 삼성의 HBM3(E) 버젼에 대하여 디자인, 즉 설계 차원 등 테스트 결과에 불통 보류를 했던 상태고 보면 뚜껑이 열리기까지 기다려 보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2026년 글로벌 HBM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30%를 상회하는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메모리사업부의 주요 실장급 라인에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이번주 중 조직개편을 마무리하고 다음달 초 글로벌전략회의를 열어 내년도 사업을 점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링크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243309
`삼성전자 HBM칩, 발열·전력소비등 문제 엔비디아 테스트 통과 못해`... - 믜디일보
SK하이닉스 독주·마이크론테크놀로지에 뒤처질 가능성 투자자들 우려삼성 `개별 고객사들 개별 필요에 맞춰 최적화 과정 필요…긴밀히 협조` 로이터, 복수 익명소식통 인용 보도…4월에 HBM3E 8단·12단 제품 시험 결과 나와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납품하기 위한 테스트를 아직 통과하지 못했다고 로이터통신이 3명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24일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발열과 전력 소비 등이 문제가 됐다면서, 현재 인공지능(AI)용 그래픽처리장치(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526937
딥시크 출현에 '중국산 HBM' 성장 탄력?…복잡해진 韓 기업 셈법 장·단기 관점 차이 지적 - 믜디일보
美 제재, 중국 자립화 부추겨…`CXMT, 엔비디아 공급 가능성도`젠슨 황 CEO, '방중' 후 트럼프 회동…삼성 `위험·기회 공존` 복잡해진 韓 기업 셈법 장·단기 관점 차이 지적 ... 사실상 더 예의 주시 요주의 요구돼 경제를 뛰어넘는 정치 AI 세계 열어놓을 셀(?) 게이트 스크류(gate screw) 돌아가는 소리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인공지능(AI) 모델의 등장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확대 등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가 더욱 강력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652400
SK하이닉스 부스 방문한 젠슨 황…`HBM, So Beautiful!` - 믜디일보
'컴퓨텍스 2025' SK하이닉스 부스를 찾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 강태우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20일 오후 대만 타이베이 난강 전시관에서 개최된 '컴퓨텍스 2025'에서 SK하이닉스 부스를 찾아 전시된 HBM에 사인하고 있다. 2025.5.20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0일 오후 아시아 최대 규모 정보기술(IT) 전시회 '컴퓨텍스 2025'에 조성된 SK하이닉스[000660] 부스를 깜짝 방문했다. 부스 안내는 김주선 SK하이닉스 AI 인프라 사장이
https://sharimanzu.today
https://sharimanzu.today/View.aspx?No=3870358
구글 TPU, AI 칩 시장 엔비디아 GPU 독주 견제구?…G스타 깐부 CEO '그래도 그래픽' 진화 나서 - 믜디일보
구글의 반격, 엔비디아 흔들? SK하이닉스 'HBM 패권' 굳히기?메타, 구글 AI 칩 'TPU' 도입 검토…엔비디아 '독주' 위협 보다 '독주'에 위협 TPU에 HBM 6∼8개 탑재…HBM 수요 폭증 전망에 韓 메모리 수혜 알파벳 구글 두 명의 유대인 창업자, 자연지능 능가 의식의 기계 복제 자체종 또한 존중 주장 엔비디아가 절대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인공지능(AI) 칩 시장에 구글의 '텐서처리장치(TPU)'가 다크호스로 떠오르면서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향방에 관심이 커졌다.
https://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