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독점 깨고 수주…"고부가 에너지 강재 시장 지배력 확대"
알리바바 견줘 딥시크 채택 이어 포스코 'HIC 강재' 공급·수요 결정
...우크라전에 눈길 쏠려
▷ 딥시크(DeepSeek) : 대형 언어 모델 (LLM)을 개발하는 중국의 인공지능 회사. 본사 저장성 항저우시. 중국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 소유.
딥시크는 2023년 7월 하이플라이어 공동 창립자 겸 양사의 CEO를 겸하고 있는 량원펑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2025년 1월 딥시크-R1 모델과 함께 자사 챗봇을 출시하면서 미국 기술주를 한바탕 뒤흔들어 놓기도 했다.
AMD 연관 대기관 MIT의 허가서에 따라 출시된 딥시크-R1은 오픈AI의 GPT-4o 및 오픈AI o1과 같은 다른 대규모 언어 모델과 비교 대적할 만한 응답을 제공한다고 알려졌다. 더우기 훈련 비용이 다른 LLM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회사는 V3 모델 훈련에 미화 600만 달러가 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2023년 오픈AI의 GPT-4에 든 미화 1억 달러보다 훨씬 적은 비용이며, 메타의 유사 모델인 LLaMA 3.1의 컴퓨팅 파워 약 10분의 1에 불과하다. 중국 기업 딥시크의 성공은 "인공지능의 판도를 뒤엎었다"고 묘사되기도 했다.
량은 AI 거래 알고리즘 개발 및 사용에 중점을 둔 헤지펀드인 하이플라이어를 설립했다. 종종 엔비디아 칩 또한 사용했다.
2023년 4월 14일, 하이플라이어는 인공일반지능(AGI) 연구소를 설립한다고 발표했고, 회사의 금융 사업과 관련 없는 AI 도구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X
현재 운영 중인 사우디아라비아 '파드힐리 프로젝트' 전경 [포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포스코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사인 아람코의 '파드힐리 가스 플랜트 증설 사업'에 HIC 인증 에너지 강재를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납품하는 포스코의 HIC 강재는 수소 유발 균열(Hydrogen Induced Cracking)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강철 상품이다. 온도·압력 등 측면에서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석유, 가스 등 에너지용 강관이나 압력 용기 소재 등으로 쓰인다.
파드힐리 증설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 석유사인 아람코가 기존 플랜트 가스 처리량을 1.6배 수준으로 높이는 대형 에너지 인프라 증설 사업이다.
에너지 강재는 사용처에 따라 에너지를 채굴, 생산하는 데 쓰이는 플랜트 부문과 수송용 파이프 부문으로 구분된다.
포스코의 '수소 유발 균열 방지 강재(HIC Resistant Steel)'가 플랜트 부문에 납품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아람코가 요구하는 플랜트용 HIC 강재는 국제 규격(NACE TM0284)보다 높은 수준의 HIC 시험과 품질 인증 절차가 필요해 그간 유럽 철강사가 독점 공급해왔다.
현재 포스코를 포함한 9개 철강사만 아람코의 인증을 받았다.
포스코는 이번 공급을 통해 고부가 에너지 강재 시장에서 포스코의 기술력과 시장 지배력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고 자평했다.
아울러 포스코의 HIC 강재는 국내 배관, 압력 용기, 피팅(배관 부속품) 제작사를 통해 완제품으로 가공돼 국내 플랜트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전망이다.
파드힐리 프로젝트 초기에는 배관과 압력 용기 제작사로 유럽 기업이 검토됐지만 포스코가 강재를 공급하게 됨에 따라 배관과 압력 용기 제작사도 국내 업체로 변경됐다.
배관은 현대스틸파이프와 세아제강이, 압력 용기는 범한메카텍이, 피팅은 태광이 각각 맡아 제작 중이다.
포스코는 "보호무역주의, 고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신규 수요를 개발하고 판로를 확대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 중"이라며 "나아가 다양한 고객사와 전방위로 협력하며 국내 제조업의 성장과 경쟁력 향상에 앞장서고 있다"고 말했다.
X
사우디아라비아 '파드힐리 프로젝트' 위치 [포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709937
북러, 원산에서 외무장관 회담 `양국관계는 전투적 형제애`…우크라, `러군 탄약 40%가 북한제` 주장 - 믜디일보
최선희 `러 무조건 지지`…라브로프, 北파병에 혈맹급 의미 시사포괄적전략동반자조약 준수 합창…러, 리조트에 관광객 유치 지원 우크라군 `러군 탄약 40%가 북한제`…실전배치 무기 계속 목격 `탄도미사일·대포 등 '좋은 무기' 24시간 생산해 지원` 무기시험·경험축적 관측 …`미국의 우크라 군사지원 당분간 지속` 북한 최선희, 원산서 러 외무장관과 회담 지난 11일 방북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12일 원산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상과 회담했다고 주북 러시아 대사관이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699393
중국 AI 확산, 사우디 아람코도 딥시크 깔았다…오픈AI 쳇GPT 양자태읽 압박 구도로 전개? - 믜디일보
`미중 '기술 신냉전'에 양자택일 압박` 우려도 오픈AI 최근 게시물 `중국 스타트업 즈푸AI도 동남아·중동·아프리카 지역 AI 인프라 구축 지원` ...`미국이나 유럽 경쟁업체보다 앞서 중국 시스템·표준으로 신흥시장을 가두려 한다` 견제 딥시크·알리바바로 대표되는 중국 인공지능(AI) 업체들이 미국의 AI 기술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중 '기술 신냉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 유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0105
라데온 일본 시장 45% 돌파 AMD CEO, 中 방문 `딥시크ㆍ알리바바 등 호환성·지원` 강조…`중국 기술 발전에 기여` - 믜디일보
AMD 일본서 그래픽카드 라데온 점유율 45% 돌파AMD 리사 수 CEO, 중국 방문 인공지능모델 딥시크와 알리바바의 큐웬 시리즈 언급 ...호환성 강조 17일(현지시간) 하드웨어등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AMD가 일본에서 열린 제품 공개 행사에서 최신 라데온 시리즈 그래픽카드가 일본 내 시장점유율 45%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경쟁사 엔비디아(NVDA)가 공급망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뤄진 성과지만 흔히 않은 판매 증가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AMD는 현재 일본 시장내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29478
오픈AI 올트먼, 딥시크 추격에 한국등 주도권다지기 '광폭행보'…미국 내 구글, MS 최대 경쟁상대 표준전쟁의 서막 - 믜디일보
한국·일본·인도 돌며 아시아권 동맹 구축 나서韓 반도체·IT 리더들과 잇달아 면담하고 카카오와 제휴…정부는 '패싱' 카카오·오픈AI 제휴 파트너십 발표…정신아 `국내 AI 서비스 대중화에 가교` SK그룹 회장 회동뒤 오픈AI HBM 공급·AI 데이터센터 건설 등 전방위 협력 논의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3자회동 ...`스타게이트에 기여할 한국 기업 많다` 부상중 인도 방문 예정 `폐쇄형 AI와 오픈소스 AI 간 '글로벌 표준 전쟁'의 서막`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26937
딥시크 출현에 '중국산 HBM' 성장 탄력?…복잡해진 韓 기업 셈법 장·단기 관점 차이 지적 - 믜디일보
美 제재, 중국 자립화 부추겨…`CXMT, 엔비디아 공급 가능성도`젠슨 황 CEO, '방중' 후 트럼프 회동…삼성 `위험·기회 공존` 복잡해진 韓 기업 셈법 장·단기 관점 차이 지적 ... 사실상 더 예의 주시 요주의 요구돼 경제를 뛰어넘는 정치 AI 세계 열어놓을 셀(?) 게이트 스크류(gate screw) 돌아가는 소리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인공지능(AI) 모델의 등장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확대 등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가 더욱 강력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
http://sharimanzu.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