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 철마면 위치.

기장군 내 다른 지역은 전부 읍으로 승격된 반면 철마면만 현재 면에 머물러 있다.

부산의 끝으로 부산시 다른 곳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밤 하늘의 별을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남아 있는 유일한 곳이다.

부산 해운대 제2센텀 도시첨단산업단지 예정지 내 방산업체 풍산에 이어 두 번째 큰 면적을 차지한 반여농산물도매시장도 기장군으로 이전될 듯.


부산 해운대 제2센텀 도시첨단산업단지 예정지 내 방산업체 풍산에 이어 두 번째 큰 면적을 차지한 반여농산물도매시장도 기장군으로 이전할 것으로 보인다.

6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사전타당성 용역을 통해 15만2천㎡ 면적의 반여농산물도매시장 이전지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를 낙점한 상태다.

현재 반여농산물도매시장역에 닿는 부산도시철도 4호선의 종점이기도 하다.

경남도 및 남해 인근은 물론 김해시 등 낙동강 인근의 농산물 수송 용역 길이가 각각 훨씬 더 늘어난다는 등의 문제점 외, 이 일대가 대부분 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부산시가 이를 해제하기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어 논란이 없지는 않다.

철마면이 개발되지 않은 농경 오지로 남아 있는 만큼 경남권 농산물과의 관계도에 대하여도 변곡점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내년 9월 용역이 끝나면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 부처와 행정 협의를 벌여야 한다.

그런 뒤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최종 통과해야 그린벨트 해제 수순을 밟게 된다.

부산시는 제2센텀 산단 3단계 공사가 진행되는 2030년 이전까지 반여농산물도매시장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기장군의회와 주민은 기장군 장안읍으로 이전이 결정된 방산업체 풍산(101만㎡)에 대해서는 위험시설이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것과 달리 반여농산물도매시장 이전을 두고는 별다른 반대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난해 주민과 유통종사자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고 기장군과도 그린벨트 해제 협의를 마친 상태"라며 "농산물도매시장의 경우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환원사업도 진행해 주민 여론이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제2센텀 산단은 해운대구 반여·반송·석대 일원 191만㎡에 산업시설·복합 용지에 정보통신기술(ICT), 지식서비스 산업, 영화·영상 콘텐츠산업, 융합 부품소재 등 첨단산업을 유치해 '부산형 테크노 밸리'를 만드는 사업이다.

X
부산 제2센텀 산단 예정지 부산시가 첨단산업단지로 추진하는 센텀2지구 예정지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35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