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권 강화 보완…형법에 '경영판단의 원칙' 명문화도

배임죄 남용 저지책 차원 넘어

...이사회 무력화, 소액주주 권리 침해등 우려 커

X

'코스피 5000시대 실현을 위해 민주당이 할 일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경제는 민주당 : 코스피 5000시대 실현을 위해 민주당이 할 일 : 주식편'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2025.7.15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은 15일 기업 특별배임죄를 전면 폐지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사항인 '주주권 강화' 상법 개정 과정에서 경제계의 우려를 반영해 보완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개정안은 상법상 특별배임죄 조항을 전면 삭제하는 내용이 골자다.

현재 상법은 회사의 이사나 임원 등이 임무를 위배한 행위로 재산상의 이익을 취하거나 제3자에게 이익을 돌려 회사에 손해를 가한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는데, 이런 법 조항을 폐지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기업의 고의적 사익 편취와 정당한 경영 판단을 명확히 구분하고, 경영진이 합리적 경영 판단을 내린 경우 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도록 '경영 판단 원칙'을 명문화하는 내용의 형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김 의원은 "이번 개정안은 앞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의 취지를 보완하는 입법"이라며 "과도한 형사 리스크를 걷어내고 건강한 경영 판단이 가능하게끔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배임죄 남용이 자본시장을 위축시키고, 기업의 전략적 판단과 투자 유인마저 떨어뜨리고 있다"며 "정치는 단순히 규제를 위한 규제가 아니라 제대로 작동하는 자본시장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국회는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를 규정하고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 주주와 특수 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 3%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상법 개정안을 여야 합의로 처리했다.

민주당은 여야 합의 과정에서 제외된 집중 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 등을 포함한 추가 상법 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경제계는 상법 개정에 따른 이사 책임 강화가 자칫 배임죄 남발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그러나 이 번 개정안은 배임죄 남용에 대한 저지책 차원을 넘어 이사회의 무력화, 소액주주 권리 침해등 우려가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위험 부담이 더 클 수 있다. 자칫 회사가 와해되는 수순도 없을 수 없다. 자본시장의 기업 경제는 자본시장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회사는 그로 인한 리스크와 병행된 정상적(?) 경영 판단으로 인한 리스크야 말로 서로를 겨눈 양 날의 칼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다만 고래 싸움에 등 터지는 새우가 되고 싶은 사람은 아무도 없고 등 터진 새우가 될 이유가 있는 사람도 없다.

기업의 100년 대계(?)로는 3대에 이르기도 전에 파장날 것이다.

참고로 쉬운 이해를 돕자면, 경영 사업의 양태는 주식회사만 있는 것이 아니다. 굳이 경영상으로도 회사의 이익을 (회사의 이사나 임원 등이 임무를 위배한 행위로 재산상의 이익을 취하거나 제3자에게 이익을 돌려 회사에 손해를 가한 경우와 준하지만) 개인의 돈으로 이익을 취하고 싶다면 개인사업자 등록을 하고 개인 사업을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