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서 애플 직영매장 첫 폐점…스마트폰 점유율 5위로 밀려

1∼4위 모두 화웨이 등 중국산 브랜드 장악

애플 AI 직원 조직의 what the 엑소더스?

…메타·스타트업으로 또 이탈, AI 조직 향방 귀추 촉각

블룸버그 "한 달 새 메타행만 4명…다른 연구원도 이직 위해 면접"

메타는 오픈AI 전 CTO 무라티 설립 스타트업 연구원도 영입 시도


삼성은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31%

…2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서 애플과 격차 18%로 줄어

미국 내 인도산 스마트폰 수입 전년 동기 대비 240% 급증

...중국 생산 → 인도 생산 급변동 이유

X

중국서 애플 직영매장 첫 폐점 [중국 신랑과기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애플이 처음으로 중국 내 직영매장의 문을 닫는다.

29일 재련사와 신랑과기 등 중국 현지매체들에 따르면 애플은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 랴오닝성에 있는 다롄 백년성 지점 매장 운영을 다음 달 9일까지만 한다고 전날 밝혔다.

이는 애플이 중국에서 운영 중인 직영점의 첫 영업 종료다.

쇼핑몰 백련성에 있는 이 지점은 2015년 10월 문을 연 다롄의 첫 애플 매장이었다.

애플 측이 폐점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가운데 애플은 올해 2분기에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순위에서 5위까지 밀려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국 본토의 스마트폰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으며 국가보조금 지급 효과가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점유율 순위를 보면 화웨이(1천220만대, 18%)가 비보(1천180만대, 17%)를 다시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3위와 4위는 각각 오포(1천70만대)와 샤오미(1천40만대)가 차지해 1∼4위 모두 중국산 브랜드였다. 애플(1천10만대)은 5위에 머물렀다.

애플의 인공지능(AI) 연구원이 잇따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초지능 연구소'에 합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소셜 SNS 플랫폼의 경쟁도 가열 되는 가운데, 사업을 완전히 접지는 않은 LG 헬로비젼은 갤럭시 시리즈와 알뜰폰 행사를 진행하고 CJ 올리브 영은 산리오와 콜라보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해 선거 직전 중곡의 동영상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틱톡 계정 또한 개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의 인공지능(AI) 연구원이 잇따라 회사를 떠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애플의 AI 조직이 위기를 맞고 있다.

애플의 핵심 멀티모달 AI 연구원이었던 보웬 장이 조만간 회사를 떠나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초지능 연구소'에 합류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장 연구원은 애플 AI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을 구축한 '애플 파운데이션 모델'(AFM) 소속이었다.

애플 AI 연구원이 메타로 옮기는 것은 최근 한 달간 이번이 4번째다.

최근 애플에서 AI 모델 개발을 총괄하던 뤄밍 팡이 2억 달러 이상의 보상 패키지를 받고 메타로 옮긴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조직의 마크 리와 톰 건터 연구원도 메타로 이직했다.

일부 연구원은 메타가 아닌 다른 기업으로도 옮기거나 이직을 고려 중이다.

또 다른 팀원인 플로리스 위어스는 최근 한 스타트업으로 자리를 옮겼고, 다른 연구원들도 이직을 위해 면접을 보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AFM 조직은 애플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와 뉴욕에 걸쳐 수십 명의 엔지니어와 연구원으로 구성돼 있다. 이 조직의 연구는 애플이 지난해 출시한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 플랫폼의 기반이 된다.

그러나 잇따른 인력 이탈로 애플의 AFM 조직은 혼란에 빠졌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조직의 로드맵과 연구 방향 결정에 중심적인 역할을 해 온 팡의 이탈에 다른 연구원도 잇따라 회사를 떠나고 있고, 현재 이 조직 내 다수는 팀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애플은 메타 및 다른 기업들의 영입 제안에 대응해 AI 조직 직원들의 연봉을 소폭 인상했지만, 경쟁사들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여기에 AI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이 조직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인력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분석했다.

AFM 조직은 애플의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있지만, 애플은 제3자 모델을 더 많이 사용하는 쪽으로 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탓이다.

애플의 일부 경영진은 자체 개발 AI 모델로는 경쟁사를 따라잡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애플이 외부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조직 내부에서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이 매체는 진단했다.

애플 자체 AI 정책도 조직이 경쟁사를 따라잡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원칙이 확고해 이용자가 통제 못 하는 곳에서는 데이터가 처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AI 작업을 클라우드가 아닌 기기 자체에서 처리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런 방식은 데이터센터보다 휴대전화가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AI 역량이 제한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메타는 계속해서 경쟁사 AI 인재를 영입하고 있다.

최근 인간을 능가하는 AI 개발을 위한 '초지능 연구소'를 설립하고 오픈AI와 구글, 애플, 앤스로픽 등 경쟁사로부터 수십 명의 AI 인재를 영입한 메타가 새로운 '타깃'을 노리고 있다고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와이어드가 이날 보도했다.

메타는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의 미라 무라티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소속 직원 10여명에게 '초지능 연구소' 합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1명에게는 10억 달러 이상의 보상 패키지를 제안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오픈AI에서 CTO를 역임하며 챗GPT 개발에 깊숙이 관여해온 무라티는 지난해 9월 회사를 떠난 뒤 AI 스타트업 '싱킹 머신 랩'을 설립했다. 이 스타트업에는 오픈AI 출신들이 대거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올해 2분기 삼성전자[005930]의 미국 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급증해 3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애플이 49%로 가장 높았고 삼성이 31%로 뒤를 이었다. 모토로라는 12%, 구글과 TCL은 각각 3%였으며 기타 제조사 합산 점유율은 3%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애플은 7%포인트 하락했지만, 삼성은 8%포인트 상승해 격차는 33%포인트에서 18%포인트로 줄었다.

출하량 기준으로도 애플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1천330만대를 출하한 데 비해, 삼성은 38% 증가해 830만대에 도달했다.

카날리스는 "애플은 1분기 말부터 재고를 빠르게 쌓기 시작해 2분기에도 이를 유지하고자 했고, 삼성은 2분기에 재고를 대폭 확대하며 출하량을 늘렸다"며 "삼성은 갤럭시 A 시리즈 제품이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제조사들은 관세 위험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제품 재고를 확보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과정에서 중국에서 조립된 스마트폰의 미국 수입 비중은 작년 2분기 61%에서 올해 동기 25%로 감소했으며, 이 감소분 대부분은 인도가 대체했다.

올해 2분기 미국에 수출된 인도산 스마트폰은 전년 동기 대비 240% 급증해 전체 수입 스마트폰의 44%를 차지했다.

카날리스 사냠 초라시아 수석 애널리스트는 "이는 미국과 중국 간 불확실한 무역 환경 속에서 애플이 공급망을 인도로 빠르게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2분기 미국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1% 증가에 그쳐 실제 시장 수요는 미지근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카날리스는 "압박받는 경제 환경 속에서 수요가 둔화하고 있으며, 공급(셀인)과 실제 판매(셀스루) 간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