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中주석, 세계는 '평화 혹은 전쟁'에 직면...左김정은·右푸틴 퍼레이드

북한 김정은 위원장, 정상국가 지도자 이미지 '화려한 데뷔 갈라쇼' 성공적 전파 평가

방중 동행한 딸 주애 열병식 망루 등에는 안 보여…'딸' '부인' 혼동 피한 듯


左김정은·右푸틴 가운데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
북중러정상 66년만 한자리 망루 올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의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을 기념하는 전승절 열병식을 통해 정상적 국가 지도자 이미지를 과시했다. 일명 '화려한 데뷔' 무대를 성공적으로 전파한 것이다.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오전 베이징 톈안먼 앞 광장에서 진행된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했다.

그는 입장할 때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수비안토 프라보워 인도네시아 대통령에 앞서 뒤에서 세 번째로 입장해 중국의 정중한 예우를 받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다른 국가 정상들과는 한 손으로 가볍게 악수했지만, 김 위원장과는 두 손을 맞잡아 눈길이 쏠렸다.

시종일관 김 위원장은 시 주석 내외가 고궁박물관 내 돤먼(端門) 남쪽 광장에서 외빈을 영접하고 기념 촬영을 할 때도 푸틴 대통령과 함께 중심에 섰고, 톈안먼 망루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담소를 나누는 모습으로 존재감이 부각되었다.

X

마오쩌둥 초상화 위에 선 푸틴, 시진핑, 김정은, 및 각국 관계자들. (베이징 교도=연합뉴스)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80주년 기념 대규모 열병식에 각국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대형 마오쩌둥 대형 초상화가 걸린 톈안먼 망루에 늘어섰다. 2025.9.3


본행사에 들어서 톈안먼 망루에서 열병식을 관람할 때에도 가운데 시진핑 주석 左 김정은·右 푸틴 '갈라쇼'는 계속 되었으며, 좌석은 마오쩌둥 전 중국 국가주석 초상이 걸린 망루 중심부에 마련됐다.

다만 이날은 김 위원장이 전날 베이징에 당도할 당시 함께한 것으로 확인된 딸 주애의 모습은 포착되지 않았다.

주애는 전날 조선중앙통신 보도 사진등을 통해 전용열차에서 내리는 모습만 공개됐을 뿐, 이날 열병식 레드카펫 입장과 각국 정상들의 기념촬영, 톈안먼 망루 등 공식석상에서는 어디서도 등장하지 않았다.

일부 나라 정상들이 배우자와 함께 일정을 소화한 것과는 달리 북한 김 위원장은 배우자 리설주 여사도 딸 주애도 동반하지 않고 열병식에 참석한 것이다. 혼동될 우려가 있음에도 북한 내 행사등 다른 행사에는 줄곧 딸 주애를 동반한 것과는 달리, 이로 인한 다수간 우려나 선동 결과를 피한 것으로 짐작된다.

딸 주애는 최선희 외무상 등 다른 수행원들과 함께 망루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열병식을 지켜봤을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

X

북한 김정은, 딸 주애와 베이징 도착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게재 캡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일 현지시간 오후 4시 중국 수도 베이징에 도착했다고 조선중앙통신 등이 보도했다. 통신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딸 주애(붉은 원), 조용원·김덕훈 당 비서, 최선희 외무상 등이 동행했다. 2025.9.2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 기간 중국 외에도 여러 국가와 정상외교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외신에 따르면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이 전날 "북한 측에 초대를 전달했고 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북러 정상회담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같은 날 김 위원장은 또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고 직접 방북 초청도 했다.

김 위원장은 2012년 집권 이후 다자 무대에는 모습을 전혀 드러내지 않았으나 10여년이 지난 현재 국제 무대 전파 앞에서 다른 국가 정상과 대화를 나누며 정상 외교를 펼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대표적인 친러 국가로 북한과 같이 우크라전에 직접 가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벨라루스는 지난 5월 평양에 대표단을 보내 제3차 무역경제협조공동위원회 의정서를 조인하는 등 북한과 밀착한 바 있다.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767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