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동해서 몰려나니 좋냐? 피도 흰색 "냉혈한" 한심한 동포(?)
..."14년간 못 본 이례적 모습"
▷ 극지연구소(極地硏究所,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 KOPRI)
극지활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연구의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기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미래로 26 위치.
▷ 아라온호
: 극지 탐사를 수행할 목적으로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가 한진중공업에 발주하여 건조한 한국 최초 쇄빙연구선(碎氷硏究船). 사업비는 총 1000억 원 소요.
주요 임무는 남극과 북극 결빙지역을 포함 전세계 대양역에서 전방위·전천후로 해양연구를 수행하고, 남극의 세종과학기지와 북극의 다산과학기지에 대한 보급 및 그밖의 연구활동을 수행하는 것.
X
북위 77도에서 심해카메라로 관찰한 오징어(왼쪽)와 오징어 유생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북극해에서 해빙(바다 얼음) 감소, 오징어 출현 등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확인했다.
극지연구소는 아라온호가 78일간의 북극 연구 항해를 마치고 지난달 30일 광양항에 도착했다고 11일 밝혔다.
아라온호는 북위 77도에서 처음으로 오징어 유생(완전한 성체로 자라기 전의 상태)을 채집했다.
극지연구소 양은진 박사 연구팀은 지난해 대게를 다수 채집한 데 이어 이번에 오징어까지 잡았다. 이는 북극해 밖에 살던 해양생물이 점차 북극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아라온호는 북위 74도에서는 가로 350m, 세로 110m 크기의 대형 빙산과 만났다고 한다. 캐나다나 그린란드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북극해를 떠돌던 빙산으로 추정되는데 태평양 쪽 북극해에서는 보기 드문 규모다.
연구팀은 빙산이 녹으면서 주변 해수의 염분 농도가 낮아져 북극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X
수백 미터 길이의 빙산(위), 북극해빙캠프 연구(아래)
올해는 북극해의 해빙 분포도 평년 대비 크게 줄었다. 아라온호는 북극 항해 때마다 관측장비를 설치했다가 이듬해에 회수하는데 이전에는 해빙 때문에 접근이 어렵거나 장비가 손상돼 종종 회수에 실패했지만, 올해는 장비를 온전히 회수했다.
극지연구소는 "대형 빙산의 등장과 해빙의 감소, 비 북극권 해양생물의 출현 배경에는 지구온난화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아라온호는 한 달 정도 정비한 뒤 이달 말 남극으로 떠날 예정이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아라온호는 2009년 첫 북극행 이후 지난 14번의 항해에서 보지 못한 북극 바다의 새로운 모습을 보고 돌아왔다"면서 "관측하고 채집한 자료를 분석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