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주택 1년에 추가 1년까지만 거주 가능…"집 지을 돈이 어딨나"·
"원래 생활로 돌아갈 수 있겠나"…삶 터전 다시 마련 고민 이어져
임시 조립 모듈러 주택 [경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일주일간 5개 시군을 덮친 경북 산불로 살던 집을 송두리째 화마에 빼앗긴 수천 명의 이재민들은 '일상 회복'에 얼마나 걸릴지 앞날이 캄캄하기만 하다.
대부분 고령인 이재민들은 집을 새로 마련할 때까지 장기간 임시 거주시설 생활을 견뎌야 한다.
각종 지원금이 나온다고 해도 집을 짓기에는 크게 부족하지나 않을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31일 경북도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산불 피해자들은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주거비 등을 지원받는다.
정부와 지자체는 주택이 모두 파손된 전파의 경우는 규모에 따라 2천∼3천600만원, 절반 정도 피해가 난 반파는 1천∼1천800만원의 주거비를 지급한다.
또 주택 피해에 따른 구호비로 1인당 1일 기준 1만원(전파 60일, 반파 30일, 거주 불가능 15일 등)을 제공한다.
여기에 전국에서 답지하고 있는 성금이 배분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재민들은 새집을 짓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막막하기만 하다.
대피소 생활을 하는 안동 일직면 이모(78) 씨는 "요즘 물가가 다 올라서 건축비가 걱정이고 모두가 같은 걱정을 한다"며 "돈이 없어서 빚내서 집을 지어야 할 판인데 이 나이에 돈을 어떻게 빌릴 수 있겠나"고 안타까워했다.
이에 경북도는 이번 산불이 사회 재난으로 분류돼 주거비 지원(주택 전파 경우 2천만∼3천600만원)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자연 재난 수준의 복구 지원액 적용을 정부에 요청했다.
자연 재난은 피해주택 연면적에 따라 주택복구비가 6천600만∼1억2천만원이다.
X
산불 폐허 (청송=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31일 경북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 한 마을이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2025.3.31 psik@yna.co.kr
산불 이재민 보금자리 될까…'모듈러주택' 설치 (안동=연합뉴스)
31일 경북 안동시 일직면 권정생어린이문학관 앞에 산불 이재민 긴급주거시설로 모듈러주택이 설치되고 있다. 2025.3.31
경북도 등 행정 당국은 고령의 이재민들이 단체로 생활하는 체육관 등 대피소에서 장기간 거주하지 않도록 모듈러주택 등 임시주거시설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모듈러주택을 공급해 이재민들이 집을 지을 때까지 임시로 1년 동안(1년 추가 거주 가능) 생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재민들을 대상으로 수요를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 1천688동의 모듈러주택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했다.
1천688동의 모듈러주택 구입에는 642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보고 국비 50%와 도비 및 시군비 50%로 부담할 계획이다.
이재민들은 임시 시설인 모듈러주택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비워줘야 해 앞으로 살 터전 마련에 걱정이 태산이다.
이번 산불로 5개 시군에서 주택 3천617채가 불에 탔다.
이 가운데 대부분인 3천556채는 전소됐고 나머지는 일부 또는 절반 정도가 소실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임시로 마련하는 연수원 등 시설은 체육관 등에 설치된 대피소를 떠나 단기간 임시로 생활하는 공간으로 이재민 주거시설 지원은 모듈러 주택 공급 중심으로 할 방침"이라며 "이재민 중에는 자식 집이나 이웃에서 생활하기를 희망하는 분들도 많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과 관련해 주거 관련 이외에 주 소득자가 사망·실종, 부상으로 소득을 상실할 경우와 주 생계 수단인 농·어·임업 시설 또는 농작물·산림작물 등에서 50% 이상 피해가 난 경우는 가구원 수에 따라 62만원에서 최대 217만원을 지급한다.
고등학생이 있는 경우는 교육비로 1인당 6개월 수업료 100만원을 준다.
이번 산불 사망자 유족에게는 위로금 2천만원과 장례비 최대 1천500만원이 지원된다.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것이다.
또 각 시·군은 의무 가입한 도민 안전 보험에 따라 사망자에게 보험금(시군별 4천만∼7천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X
산불이 할퀸 자국 (안동=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30일 주불 진화가 완료된 경북 안동시 남후면의 산들이 까맣게 타 있다. 2025.3.30 ondol@yna.co.kr
X
말문이 막히는 산불 폐허 (청송=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31일 경북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 한 마을이 산불에 초토화가 된 가운데 마을 주민이 주택 폐허를 살펴보고 있다. 2025.3.31 psik@yna.co.kr
'여전히 남은 불씨' (안동=연합뉴스)
31일 경북 안동시 남후농공단지가 산불로 피해를 본 가운데 한 공장에 있는 사료 등이 여전히 불에 타고 있어 소방 당국이 진화 작업을 벌였다. 2025.3.31
'처참하게 변한 안동 남후농공단지' (안동=연합뉴스)
31일 경북 안동시 남후농공단지 한 공장 건물과 자재들이 산불에 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상태로 남겨져있다. 안동시는 이날 남후농공단지 산불 피해 대책위원회 임시사무실에서 1차 '산불 피해기업 원스톱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2025.3.31
관련기사 링크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92059
9일째 접어든 산청 산불,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수도권에 때 아닌 눈, 그런데 검은눈? - 믜디일보
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주불 진화 지연화선 형성구역 경사 심하고 고도 높아…낙엽 등 쌓여 속불 잘 안 잡혀 100㎝ 낙엽층에 파고든 불씨...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 지리산 산불 현장 조사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임상섭 산림청장 현장 브리핑…`기상 좋고 헬기·인력 투입 계획대로 이뤄져“ 軍, 오늘도 산불 진화에 600여명 투입…장병 149명 재해휴가 `피해지역 내 동원훈련·예비군훈련 면제 조치“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대형산불 영향 아니냐는 말도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90097
`괴물산불이 휩쓸고 간 곳엔 폐허만` 흡사 악몽 영화를 보는 듯…하늘에서 본 피해지역 - 믜디일보
`괴물산불이 휩쓸고 간 곳엔 폐허만…` 하늘에서 본 피해지역 '천년고찰' 보물이 잿더미로…최악 산불에 국가유산 곳곳 상처 오후 5시 기준 피해 총 30건…의성·안동 등 경북서 피해 이어져 지리산 산불 일몰 전 주불 진화는 실패…부상자 1명 추가 진화작업 내일까지 이어질 듯…인력 투입해 야간 진화 계속 불에 타 지붕만 남은 집. 녹아내린 축사, 뼈대만 남은 공장, 사라진 문화재와 사찰, 검게 그을린 밭, 쑥대밭이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9774
안동·청송·영양·영덕,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물리적 피해에 마음의 병까지 번지는중 - 믜디일보
'산불사태' 사망 1명·부상 2명 늘어…인명피해 현재 총 59명울산 `울주는 산불 '주불 진화' 판단`…저녁에 '단비' 기대 960고지 험준한 지형에 연무까지…지리산까지 번진 산불로 진화 '발동동' 영덕 바다까지 닿은 산불로 멸종위기종 이동조치로도 긴급 영덕까지 확산 후 불머리 소강상태, 남쪽 또는 북쪽 향할 가능성 대규모 산림 소실·이재민 발생…정부 차원 신속한 수습·피해자 지원 대책 마련 지시 韓대행 `행정·재정적 지원 아끼지 않고 피해수습 만전` 의성산불 이재민 `전 재산인 집도 잃고 초라해진 스스로가 싫어` 눈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7082
'괴물산불'에 갇힌 경북북부…일상이 멈췄다 끝났나 숨 쉬어도 안쉬어도 죽는다는 긴장감 공포감 - 믜디일보
'괴물산불'에 갇힌 경북북부…일상이 멈췄다 `숨쉬기도 힘들어`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병산서원 불길 근접…천년고찰 고운사도 전소 나흘만에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강풍 타고 걷잡을 수 없이 확산 초기진화 실패에 천문학적 국토 피해…`비 내리면 꺼질까` 영양서 시신 4구 발견…의성산불 사망자 6명으로 늘어 `산불로 인한 소사 추정`…`사건 초기 단계로 신원 특정 안 돼` 안동 산불 25일 경북 안동시 남안동 IC 인근에서 바라본 안동시 일직면 야산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5634
개 같이 탈출! 도깨비불처럼 번져! 의성 '괴물 산불' 안동까지 확산…사흘째 걷잡을 수 없어 장기화 우려 - 믜디일보
`야속한 강풍` 의성 산불 왜 안꺼지나…진화대원마저 일시 대피사흘째 진화 더뎌…강풍에 '발목', 안동까지 확산 장기화 우려 산림 당국 `바람 초속 6m로 불면 산불 확산속도 26배 빨라` 초속 10m 이상 강한 바람에 낮 기온 25.5도… 강한 바람·건조한 날씨 등 악조건 더딘 진화에 피해 눈덩이 고속도로 휴게소 건물도 연소, 의성·안동 주민 대피…청송군도 긴장 `내원암은 괜찮을까요`…울주 산불, 신라시대 천년고찰도 위협문화유산자료 산성인 '운화리성지'도 피해 추정 물 뿌리고, 유물 긴급 이송까지…산불에 문화유산 안전 '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4109
기변시대 강도 높아지는 건조·강풍 재해 우려…경남·북, 울산, 충청, 강원까지 곳곳서 산불 사흘째 야간 대응 돌입 - 믜디일보
성묘 예초기 불똥에도 삽시간에 산불로 번져...밭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철재 울타리 용접작업 불씨도 주변으로 급속 확산 경남서 하루 세 지역 산불…산청·김해 야간 대응 돌입 강한 바람·건조한 날씨 등으로 진화 지연…함양 산불은 주불 진화 완료 사흘간 사상자 10명·이재민 1천988명·주택 110동 불에 타 중대본 `산청·의성 등 동시 산불로 산림 7천778㏊ 피해` 울주 산불 이틀째 192㏊ 피해 추산...밤새 강풍 예상, `내일도 주불 진화 장담 못 해` '동백 군락 천연기념물' 울산 목도 섬 화재…200㎡ 불타 잇단
http://sharimanzu.today
http://sharimanzu.today/View.aspx?No=3583567
봄철 건조한 강풍 경남·북 동시다발 산불 재난 사태 선포…진화대원 벌써 4명 사망, 주민 수백명 대피 - 믜디일보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재난 사태 선포…경남 산청군 특별재난지역 선포 경남 산청 산불 이틀째, 역풍에 갇힌 진화대원 4명 숨지고 5명 부상 역대 6번째 대형산불 특별재난지역…정부 차원 신속 수습·피해 지원 경북 의성 '산불 3단계', 울산도 '2단계'…이재민 700명 넘어 산림청 위기 경보 '심각' 발령, 정부 3개 지자체에 '재난 사태' 선포 '남고 북저' 기압계 속 건조한 강풍 불어…동해안 경남내륙 습도 '뚝' 초건조한 봄철 강풍 잦아 성묘객, 산행객들 작은 불씨에 대형화재 가능성 각별히 주의
http://sharimanzu.today